학술논문
제이 로젠블랏의 파운드 푸티지 영화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f Found footage Films of Jay Rosenblatt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장민용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31호, 5~2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Jay Rosenblatt is one of the greatest experimental filmmakers, very well known and admired in the art world these days. His aesthetics of cinema is more concerned with the forms of poetry and essay. The relation of between imagery of found footage with sound including narration and music is more consonant than explanation. It not only makes for more meaning and stimulates associations rather than designating directives.
Making films with found footage is a peculiar process. It leads to a more poetic and metaphoric working process. In many cases, recontextualization of existing footage has radical transformative qualities and shows aesthetics of collage montage. He continues to explore the complex features about the encounter, socialism, loss, and alienation. Rosenblatt didn’t want to offer a final solution, but he always explored the deep contemplation of these issues.
The films of Jay Rosenblatt have the form of collage, full of irony and humor. They confuse the audience with ambiguities and juxtapositions within film, and between films. He used imagery from different sources and sounds including narration and music together to unify the works, resulting in solid and distinct relationships. The collage among imagery, sounds, and subjects made his works integrate the analysis of serious politics that respond to alternative ethical issues by creating provocative and imaginative within artistic experimental films.
영문 초록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 파운드 푸티지(found footage)의 성격
Ⅲ. <불타는 개미의 냄새The Smell of Burning Ants>(1994)
Ⅳ. <인간의 잔재Human Remains>(1998)
Ⅴ. <환각사지Phantom Limb>(2005)
Ⅵ. 나오는 말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이 로젠블랏의 파운드 푸티지 영화 연구
- 현대영화의 프로타고니스트 활용방법
- 소규모(공연등)공연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구축과 현황분석과 효과적인 대안 연구
- 버추얼 프로덕션 기술을 활용한 제작 기술 동향 연구 - 시각특수효과 영화 중심으로 -
- 지알로 영화의 거장, 다리오 아르젠토의 영상 표현 기법 - 써스페리아를 중심으로 -
- 영상미디어 플랫폼의 확장 방안 연구 - 스크린X의 연출 미학 제언 -
- 한국영화산업 발전을 위한 DMX Lighting 상용화를 위한 연구
-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의한 방송 CG 교육과정 연구
- 북한 영화 국제교류 현황 조사연구
- 한국 상업영화의 소재와 주제에 관한 연구
- 여행 프로그램의 서사구조와 의미 전달에 관한 연구
- 영화<타짜>와 <노팅힐>, TV 드라마<도깨비>를 통해 본 메인 플롯과 서브플롯의 상호 연관성 연구
- 한국 스릴러 영화 속 여성 캐릭터의 특성 변화에 대한 연구 - <도어락>과 <왓칭>을 중심으로 -
-
The Narratology of the
Complex Serial Drama - Spiral Story Structure as a Time Loop -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TV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의 성공 요인 분석-대본과 그 장르를 중심으로 -
- 소통을 위한 영화의 형식적 표현 연구-영화 <증인>을 중심으로 -
- 영화 <서치>의 연출 분석-파운드 푸티지와 전통적인 장르의 융합을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