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완벽 주의적 자기제시와 자기침묵의 순차적 매개효과 : 성별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elf-Silenc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Binge Eating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ender
발행기관
한국심리치료학회
저자명
노유경 강지현
간행물 정보
『한국심리치료학회지』제17권 제2호, 87~11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15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자기침묵을 거쳐 폭식행동에 미치는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 과정에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업체를 통해 국내 20대 대학생 400명(남: 200, 여: 200)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 척도(RSQ), 한국판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PSPS-K), 자기침묵 척도(STSS), 신경성 폭식증 검사 개정판(BULIT-R)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부민감성과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자기침묵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부민감성과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자기침묵이 순차적으로 매개할 때, 거부민감성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관계를 성별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거부민감성이 높을수록 타인에게 완벽한 모습만을 제시하려는 경향성이 증가하고, 관계를 해칠 수 있다고 느끼는 자신의 감정과 욕구에 대해서 침묵하게 되며, 이로 인해 유발되는 심리적 불편감을 해소하기 위해 폭식행동이 증가하는데, 이러한 경로가 여성에게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elf-silenc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binge eating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o explor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ender within this process. A total of 400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twenties(200 males, 200 females) participated in a self-report online survey conducted via a survey platform. The measures included the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RSQ), the Korean version of the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cale(PSPS-K), Silencing The Self Scale(STSS), and Bulimia Test Revised(BULIT-R). Summarizing the results, First,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elf-silencing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binge eating behavior. Second, wh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elf-silencing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binge eating behavior, gender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dividuals with high rejection sensitivity tend to present a flawless image to others and suppress their own emotions and needs, especially when they perceive these expressions could damage their relationships. This pattern appears to be more prominent among women.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유경,강지현. (2025).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완벽 주의적 자기제시와 자기침묵의 순차적 매개효과 : 성별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7 (2), 87-110

MLA

노유경,강지현.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완벽 주의적 자기제시와 자기침묵의 순차적 매개효과 : 성별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7.2(2025): 87-1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