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로르샤흐 검사의 투사지표 개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Projection Index for the Rorschach Test
발행기관
한국심리치료학회
저자명
고영건 박유진 민해원 강원모 김진영
간행물 정보
『한국심리치료학회지』제17권 제2호, 69~8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15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922명의 로르샤흐 검사 자료를 활용해, 수검자의 반응이 카드속성보다는 수검자의 개별적 특성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정도를 나타내는 투사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로르샤흐 종합체계의 주요 채점 변인들, 반응 단계 및 질문 단계에서의 주요한 언어 반응 정보들을 종합적으로 활용했다. 유관 변인을 중심으로 투사지표를 구성하기 위해, 전체 11개 채점 변인들에 대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후 ‘전형적인 상관’의 크기인 .2 이상의 상관(Gignac & Szodorai, 2016)을 보이는 최대조합으로 ‘반응단계 언어반응’, ‘질문단계 언어반응’ ‘결정인’, ‘내용’, ‘특수점수’ 5개의 변인을 선정했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1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요인의 설명변량은 약 34%였다. 이러한 1요인 구조는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도 검증되었으며 모형 적합도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투사지표는 S-CON, DEPI, PTI, HVI, OBS 지표 모두와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이원변량분석 결과, CDI 변인과 adjD 변인이 투사지표에 미치는 이원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adjD 점수가 0미만인 경우에는 CDI가 4 이상인지 여부와 무관하게 투사지표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adjD 점수가 0이상인 경우에는 CDI가 4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투사지표가 상대적으로 큰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투사지표를 로르샤흐 종합체계 변인들과 통합적으로 활용할 경우, 근거기반의 투사적 해석 기법을 발전시켜 나가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 Projection Index for the Rorschach test that reflects the degree to which an examinee’s responses are influenced more by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an by the properties of the cards. Using Rorschach data from 922 adults, we comprehensively utilized key scoring variables from the Rorschach Comprehensive System (CS) as well as major verbal response information from both the response phase and the inquiry phase. To construct the Projection Index based on relevant variables, correlations were computed for all 11 scoring variables. The maximal combination of variables showing correlations r ≥ .20 was selected, resulting in five final variables: “verbal responses in the response phase,” “verbal responses in the inquiry phase,” “determinants,” “content,” and “special scor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yielded a single factor, which explained approximately 34% of the variance. This one-factor structure was also confirm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the model showing good fit indices. The Projection Index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S-CON, DEPI, PTI, HVI, and OBS indices. Two-way ANOVA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the CDI and adjD variables on the Projection Index. When the adjD score was below zero, the Projection Index did not differ markedly regardless of whether the CDI score was ≥ 4. However, when the adjD score was zero or higher, the Projection Index differed substantially depending on whether the CDI score was ≥ 4. When integrated with the Rorschach CS variables, the Projection Index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advancing evidence-based projective interpretation techniques.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영건,박유진,민해원,강원모,김진영. (2025).로르샤흐 검사의 투사지표 개발 연구.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7 (2), 69-86

MLA

고영건,박유진,민해원,강원모,김진영. "로르샤흐 검사의 투사지표 개발 연구."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7.2(2025): 69-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