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을 위한 한미 연합 군사 전략의 발전 방향
이용수 6
- 영문명
- Development Directions of the ROK-U.S. Combined Military Strategy to Respond to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Threats
- 발행기관
- 한국보훈학회
- 저자명
- 신정원
- 간행물 정보
- 『한국보훈논총』제24권 제3호, 129~15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북한은 지속적인 핵무기 및 미사일 개발을 통해 한반도와 동북아시아 지역의 안보를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특히 극초음속 미사일,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 다탄두 미사일(MIRV) 등 신형 전략무기의 개발은 기존의 한미 연합 군사전략 만으로는 대응이 어려운 새로운 안보 환경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한미 연합 군사 전략의 현황과 문제점을 평가하여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한미 연합 군사 전략은 확장억제, 미사일 방어체계(MD), 연합 군사 훈련 등을 통해 일정 부분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고 있으나, 신형 위협에 대한 대응 능력과 연합 방어체계의 통합성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전략적 억제력 강화, 한미 미사일 방어체계 고도화, 선제적 대응 및 위기관리 능력 강화, 첨단 기술 활용 및 미래전 대비 전략 구축을 핵심 발전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미국의 확장억제 공약을 제도화하고 전략자산의 체계적 운용을 강화하며,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KAMD)와 한미 연합 미사일방어망의 통합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위기 상황별 대응 시나리오 개발과 연합지휘체계의 효율성 향상, 인공지능(AI) 및 무인체계(UAV 등) 활용, 사이버 및 전자전 역량 강화를 통해 미래 지향적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는 북한 핵·미사일 위협의 변화 양상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한미 연합 군사 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한반도 및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보 유지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North Korea has posed a serious threat to the secur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Northeast Asian region through its continuous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and missile capabilities. In particular, the advancement of new strategic weapons such as hypersonic missiles,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s (SLBM), and multiple independently targetable reentry vehicles (MIRV) has created a new security environment that existing ROK-U.S. combined military strategies alone cannot adequately addres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threats and evaluates the ROK-U.S. combined military strategy to identify its limitations and propos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The research findings reveal that while the current ROK-U.S. combined military strategy — including extended deterrence, missile defense systems (MD), and combined military exercises — has to some extent deterred North Korean provocations, it faces clear limitations in countering new types of threats and achieving full integration of combined defense system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four key development directions: strengthening strategic deterrence, advancing the ROK-U.S. missile defense system, enhancing preemptive response and crisis management capabilities, and adopting future-oriented strategies utilizing cutting-edge technologies.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the U.S. extended deterrence commitment, systematize the deployment and operation of strategic assets, and enhance the integration of the Korea Air and Missile Defense (KAMD) and the combined missile defense network. Moreover, developing detailed crisis response scenarios,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combined command and control system, and utilizing emerging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unmanned systems (UAVs, etc.), and strengthening cyber and electronic warfare capabilities are crucial for building future-oriented defense strategie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policy implications by presenting strategic directions for effectively responding to the evolving nuclear and missile threats from North Korea and ultimately promoting peace and securit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Northeast Asia.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북한 위협 대응 위한 한미 연합 군사 전략의 현황과 평가
Ⅳ. 북한 위협 대응 위한 한미 연합 군사 전략 발전 방향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