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가안보의 핵심가치로서 보훈정신의 교육적 내재화 연구

이용수  3

영문명
The Educational Internalization of Patriotic Spirit as a Core Value of National Security
발행기관
한국보훈학회
저자명
허서정
간행물 정보
『한국보훈논총』제24권 제3호, 105~null쪽, 전체 null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보훈정신이 국가안보의 핵심 가치로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해왔으며, 과거, 현재, 미래 안보 환경 속에서 어떻게 재해석되어야 하는지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급변하는 안보 위협과 가치관의 다변화 속에서 국민적 통합과 공동체 책임의식을 고양하는 정신적 자산으로서 보훈정신의 전략적 의의가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의미는 여전히 과거에 국한되거나 정책적·교육적 측면에서 단편적으로 활용되는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문헌 연구 방법에 기반하여 보훈정신의 역사적 기원, 정책적 진화, 사회문화적 함의를 통합적으로 고찰하였다. 보훈정신은 독립운동, 6·25 전쟁, 산업화 및 민주화 과정에서 국가와 공동체의 결속을 이끈 근본 동력이었으며, 현재에도 안보의식, 사회통합, 국가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자산으로 기능하고 있다. 현대의 안보 위협이 사이버, 기후, 생물학 등 비전통적 영역으로 확장됨에 따라, 보훈정신은 국민의 자발적 참여와 책임 윤리를 강화하는 문화적 자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세대 간 인식 격차, 개인주의 심화, 보훈 대상 다양화 등 새로운 사회적 과제에 대응하기 위한 보훈정책의 혁신적 재편도 요청된다. 미래의 보훈정신은 기술사회 및 다문화 환경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재정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교육 커리큘럼 내 통합, 디지털 보훈 콘텐츠 개발, 지역사회 기반 실천 플랫폼 구축, 국제 보훈 협력 등의 실천 전략이 제안된다. 특히 본 연구는 보훈정신의 교육적 내재화(educational internalization)를 핵심 키워드로 설정하고, 이를 국가안보 전략과 연결하는 새로운 분석 틀을 제안함으로써 실천 가능성과 정책 적용성을 구체화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실증 연구와 정책 연계를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evolving role of Bohun(patriotic remembrance) as a strategic ideological asset in Korea’s national security framework. Traditionally rooted in honoring independence activists and war veterans, Bohun has functioned as a mechanism of national unity, political legitimacy, and social cohesion. However, in contemporary contexts, its application remains fragmented within policy and education. Through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this research analyzes the historical trajectories, policy transformations, and cultural meanings of Bohun, from Korea’s liberation through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It identifies Bohunas a foundational force in shaping collective identity and national security consciousness. Amid growing non-traditional threats—such as cyber insecurity, climate crises, and pandemics—Bohun must evolve from a state-centered ideology to a civic-centered ethical value that fosters participatory citizenship and responsible security culture. Current challenges including generational perception gaps, deepening individualism, and the diversification of service beneficiaries necessitate an innovative restructuring of veterans’ policies. To this end, the study suggests integrating Bohun education into school curricula, developing digital and community-based remembrance platforms, and promot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commemoration practices. This recontextualization of Bohun aligns with the need for sustainable, democratic, and inclusive national security systems. The findings provide theoretical grounding for future empirical research and practical policy develop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보훈정신과 보훈교육의 전략적 국가안보 가치: 역사적 성찰과 정책적 과제
Ⅳ. 과거의 보훈정신과 국가안보: 역사적 교훈과 성찰
Ⅴ. 현재의 보훈정신과 국가안보: 도전과 재조명
Ⅵ. 미래의 보훈정신과 국가안보: 발전 방향과 함의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서정. (2025).국가안보의 핵심가치로서 보훈정신의 교육적 내재화 연구. 한국보훈논총, 24 (3), 105-null

MLA

허서정. "국가안보의 핵심가치로서 보훈정신의 교육적 내재화 연구." 한국보훈논총, 24.3(2025): 105-null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