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산재보험법⌟재활중기 발전계획(1차∼6차)의 탐색적 연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여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atory study for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s Mid-Term Rehabilitation Development Plan (1st to 6th): Using text mining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박명숙
- 간행물 정보
-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제11권 제2호, 95~12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산재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과 재활사업 발전을 위해 수립된 총 6차 중기 발전계획을 소개하고, 이후 재활사업 중기 발전계획 수립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도록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총 6차 재활중기 발전계획 자료를 활용하여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통해 핵심단어와 단어의 관계를 Voyant Tools를 활용하여 분석한다. 총 6차 발전계획의 변화 양상을 정리하고 핵심단어들을 시각화 한 결과 핵심단어들은 각 회차의 수립된 계획들이 나타났고, 핵심단어와 연계된 단어들을 분석함으로 재활중기 발전계획의 내용을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2006년부터 현재까지 수립된 발전계획은 사업주와 산재근로자에게 제공되도록 신규 재활프로그램을 도입하고 확대 발전시켜왔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재활중기 발전계획 수립의 발전을 위해 다각적인 재활서비스 지원, 계획수립의 근거 법 마련, 재활사업의 인식 전환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 total of six mid-term development plans established to support the rehabilitation of industrial accident workers, and to explore ways to provide basic data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in the establishment of mid-term development plans for rehabilitation projects. Using the 6th Rehabilitation Development Plan data, we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key words and words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using Voyant Tools. As a result of organizing the changes and improvements in the six development plans and visualizing the key words, the key words expressed the plans established for each round, and by analyzing the words related to the key words, the contents of the mid-term rehabilitation development plan could be visually confirmed.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at the development plan established from 2006 to the present has introduced and expanded new rehabilitation programs to provide services to employers and industrial accident workers. Furthermore, the study suggested institutional improvements to the mid-term rehabilitation development plan,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multifaceted rehabilitation services, the establishment of a legal basis for planning, and a shift in perception of rehabilitation servic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정신장애인 평생교육의 인식 및 요구에 대한 경험적 연구
- 지역사회중심교육이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 완화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 기반 주거 자립체험 프로그램이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 역량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