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열린 어린이집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 연구 활성화 수준과 운영 특성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Parental Satisfaction with Open Childcare Centers: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Activation Level and Operational Characteristics
발행기관
한국보육코칭협회
저자명
김엄지
간행물 정보
『교육코칭연구』제1권 제1호, 47~7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29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모가 인식하는 열린 어린이집의 활성화 수준과 운영 특성이 기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부모의 개인 특성에 따른 주요 변수 차이를 검토하였다. 수도권 지역의 유아교육 기관을 이용 중인 부모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t-검정,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부모의 성별, 학력, 경제 상황, 자녀 재원기간 등에 따라 열린 어린이집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운영 특성'과 '기관 만족도' 간의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다중회귀 분석 결과, ‘참여 활동의 일상성’과 ‘다면적 의사소통’이 기관 만족도의 주요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양육 관심도와 성별 역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열린 어린이집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부모의 개인적 특성과 기대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부모 참여의 질적 향상과 신뢰 형성을 위한 체계적인 소통 및 참여 환경 조성이 강조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he activation level and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open childcare centers as recognized by parents on institutional satisfaction, and examines the differences in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parent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00 parents us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open childcare centers based on parents'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economic situation, and enrollment period, with a particularly strong positive correlation identified between 'op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institutional satisfa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daily life of participatory activities' and 'multi-faceted communication' are major factors influencing institutional satisfaction, while parents' parenting interest and gender also play a ro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ive operation of open childcare centers requires a customized approach that considers par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xpectations. Furthermore, the creation of a systematic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environment is emphasized to enhance the quality of parental participation and build trust.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엄지. (2025).열린 어린이집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 연구 활성화 수준과 운영 특성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교육코칭연구, 1 (1), 47-73

MLA

김엄지. "열린 어린이집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 연구 활성화 수준과 운영 특성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교육코칭연구, 1.1(2025): 47-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