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린이 중심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부모-교사 학습공동체 운영 -스마트연구회 1기- 현장실천 사례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Children-Centered Carbon Neutrality Practice of a Parent-Teacher Learning Community Operation -A Case Study of the First Cohort of the Smart Research Group
- 발행기관
- 한국보육코칭협회
- 저자명
- 박수연 박은덕 신서희 임화정
- 간행물 정보
- 『교육코칭연구』제1권 제1호, 23~4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29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공립 스마트밸리어린이집이 주도한 『스마트연구회 1기』 학습공동체 운영을 중심으로, 영유아교육기관 기반의 지속가능발전 마을 만들기 실천 과정과 그 교육적 사회적 영향을 고찰하였다. 교사, 학부모, 지역 주민이 함께한 본 공동체는 ESG 운영 원칙을 토대로 영유아의 생태 감수성과 실천 역량 증진에 중점을 두었다.
텃밭 가꾸기, EM흙공 만들기, 에코백 제작, 탄소중립 20개 챌린지 등 다양한 생태 환경 프로젝트가 실행되었고, 가정 연계 활동도 병행하여 영유아-가정-지역사회 간 유기적 교육 생태계가 구축되었다. 어린이집은 마을 단위 탄소중립 실천의 거점으로서, SDGs 공유와 공동체 의식 함양에 기여하였다.
이를 통해 영유아는 지속가능한 삶의 태도를 익히고, 교사는 ESG 실천 기반의 전문성 향상을 경험했으며, 부모와 지역사회는 환경 감수성과 교육적 의미를 체감하였다. 본 사례는 영유아교육기관이 지역사회 지속가능발전의 중심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실천적 모델로, 마을 교육공동체 형성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mplementation process and the educational and social impacts of a sustainable village development initiative led by the public Smart Valley Daycare Center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mart Research Group 1st Learning Community.” The community, consisting of teachers, parents, and local residents, focused on enhancing young children’s ecological sensitivity and capacity for action based on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principles. Various eco-friendly and environmental projects, such as vegetable gardening, making EM mud balls (Effective Microorganisms), producing eco-bags, and carrying out the “20 Carbon-Neutral Challenges,” were implemented along with home-linked activities, creating an organic educational ecosystem that connected children, families, and the local community. The daycare center served as a hub for promoting carbon-neutral practices at the village level, contributing to the dissemination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and fostering community awareness. As a result, young children developed sustainable life attitudes, teachers experienced professional growth grounded in ESG practices, and both parents and community members enhanced their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recognized the educational value of participation. This case presents a practical model demonstrating how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can become central agents in community-base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uggests the potential for forming educational communities at the village level.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의 학사 혁신 현황과 개선 방향 탐색: 수도권 대학 학사 업무 담당 직원을 대상으로
- 중등학교 교사들이 지각하는 진로상담 역량: 진로교육 경험이 있는 현직 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수업에서의 디지털기기 활용과 학생 참여형 수업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