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용 전문교과 적용을 위한 반영구화장 교육 내용체계 개발
이용수 6
- 영문명
- Development of a semi-permanent makeup education curriculum for application in specialized beauty courses
- 발행기관
- 케이뷰티인학회
- 저자명
- 김소이
- 간행물 정보
- 『케이뷰티인학회지』제5권 제2호, 85~10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의상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Semi-permanent makeup has recently gained attention as a field with both high demand and technical expertise within the beauty industry. However, education in this field has largely relied on private qualifications and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resulting in a lack of systematic and standardized curricula.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curriculum content framework for integrating semi-permanent makeup into specialized beauty courses i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o verify its validity.
Through an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the core job elements of semi-permanent makeup were identified, and based on the Dick & Carey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e educational domains, learning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were structured. Subsequently, A three-round Delphi survey was conducted with a panel of 10 experts, including beauty teachers, semi-permanent makeup specialists, and vocational education expert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semi-permanent makeup education requires not only procedural skills but also interdisciplinary competencies in areas such as hygiene management, design sensibility, customer service, and professional ethics. A total of five educational domains and 14 final learning elements were derived. In the third Delphi round, all educational areas achieved an average score of 4.5 or higher, a positive response rate of at least 80%, and a CVR of 0.8 or higher, confirming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curriculum content framework.
These results provide a practical foundation for the institutional incorporation of semi-permanent makeup into the specialized beauty curriculum of vocational high schools. They can serve as a basis for future practical-oriented curriculum development, the independent establishment of the NCS semi-permanent makeup domain, teacher training, and the cre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결과
V. 결과 해석
VI.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별 및 연령 별 두피문신에 대한 인식이 시술 선택에 미치는 영향
- K-뷰티 글로벌 확산을 위한 문화적 현지화 전략: 인플루언서 소셜미디어 마케팅 통합 프레임워크
- 반영구화장사의 시술 경력에 따른 위생교육 필요도 차이 분석
- 엔더몰로지 적용이 비만개선 효과에 미치는 영향
- Stellar-Centella-Fish collagen(S-C-F) 복합 조성물이 섬유아세포에서의 피부 재생 효과
- 미용 전문교과 적용을 위한 반영구화장 교육 내용체계 개발
- MZ세대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지각된 일의 의미가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
- 메타버스⋅AI 기술을 활용한 K-뷰티 디지털 마케팅 생태계의 수출 효과 실증연구: 대구형 메타버스 융합 플랫폼을 통한 지역 뷰티산업 글로벌 브랜딩 전략
- 페이스 왁싱 후, 사후관리가 피부 변화와 소비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의상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의상분야 NEW
- 성별 및 연령 별 두피문신에 대한 인식이 시술 선택에 미치는 영향
- K-뷰티 글로벌 확산을 위한 문화적 현지화 전략: 인플루언서 소셜미디어 마케팅 통합 프레임워크
- 반영구화장사의 시술 경력에 따른 위생교육 필요도 차이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