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엔더몰로지 적용이 비만개선 효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Impacts of Applying Endermology on Obesity Management
- 발행기관
- 케이뷰티인학회
- 저자명
- 김원 권애란
- 간행물 정보
- 『케이뷰티인학회지』제5권 제2호, 47~55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의상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impact of applying Endermology on obesity management. Body measurements were conducted before, during and after Endermology whole body treatmen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1 women in their 20s to 50s who visited E Aesthetics, in Gimhae-si, Gyeongsangnam-do. A total of 15 Endermology full body treatments were performed on each subject 3 weekly treatments for 5 weeks. Body weight, skeletal muscle mass, body fat mass, body fat percentage, and BMI were measured with InBody, and arm circumference, chest circumference, waist circumference, and thigh circumference were measured with a tape measured before treatment, after 5 treatments, after 10 treatments, and after 15 treatments. Compared to before management, after 15 treatments, the average right arm circumference, left arm circumference, underchest circumference, waist circumference, right thigh circumference, and left thigh circumference decreased by 6.10cm (P<0.00), 6.41cm (P<0.00), 10.69cm (P<0.00), 15.64cm (P<0.00), 8.51cm (P<0.00), and 9.91cm (P<0.00), respectively,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before treatment, after 15 treatments, the average body weight, body fat mass, body fat percentage, and BMI decreased by 2.09kg (P<0.01), 3.48kg (P<0.00), 4.2% (P<0.00), and 0.83kg/m² (P<0.01), respectively.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keletal muscle mass increased by 1.09kg (P<0.02) after 15 treatments,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Endermology management can be applied as an efficient method for obesity management.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별 및 연령 별 두피문신에 대한 인식이 시술 선택에 미치는 영향
- K-뷰티 글로벌 확산을 위한 문화적 현지화 전략: 인플루언서 소셜미디어 마케팅 통합 프레임워크
- 반영구화장사의 시술 경력에 따른 위생교육 필요도 차이 분석
- 엔더몰로지 적용이 비만개선 효과에 미치는 영향
- Stellar-Centella-Fish collagen(S-C-F) 복합 조성물이 섬유아세포에서의 피부 재생 효과
- 미용 전문교과 적용을 위한 반영구화장 교육 내용체계 개발
- MZ세대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지각된 일의 의미가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
- 메타버스⋅AI 기술을 활용한 K-뷰티 디지털 마케팅 생태계의 수출 효과 실증연구: 대구형 메타버스 융합 플랫폼을 통한 지역 뷰티산업 글로벌 브랜딩 전략
- 페이스 왁싱 후, 사후관리가 피부 변화와 소비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의상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의상분야 NEW
- 성별 및 연령 별 두피문신에 대한 인식이 시술 선택에 미치는 영향
- K-뷰티 글로벌 확산을 위한 문화적 현지화 전략: 인플루언서 소셜미디어 마케팅 통합 프레임워크
- 반영구화장사의 시술 경력에 따른 위생교육 필요도 차이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