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Z세대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지각된 일의 의미가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Perceived Meaning of Work of MZ Generation Beauty Service Workers on Job Embeddedness
- 발행기관
- 케이뷰티인학회
- 저자명
- 이수비
- 간행물 정보
- 『케이뷰티인학회지』제5권 제2호, 33~4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의상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thesis aims to analyze how the MZ generation, which accounts for the majority of beauty service workers, perceives the ‘meaning of work’ and empirically verify how this perception affects job embeddedness. It presents a conceptual framework model for analyzing how the meaning of work affects job embeddedness for members of the MZ generation working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The research model consists of five sub-factors of the meaning of work: vitality, service, money, statu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job embeddedness consists of three sub-factors: suitability, autonomy, and relationship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conducted over approximately 1 week from December 1, 2024 to January 31, 2025, targeting employees of franchise companies and individual beauty salons with stores nationwide with the help of beauty service companies. A total of 300 copies were prepared to ensure that all the questionnaires could be completed, and 278 copi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fter excluding 14 respondents with inconsistencies or insufficiency and 8 service company representatives (the study focused on the role as an employee).
We aimed to derive important point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for continuously fostering the younger generation engaged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more MZ generation beauty service workers perceive the ‘meaning of work’ as vitality, service, statu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more they tend to perceive the sub-factors of job embeddedness, such as suitability and autonomy. Based on the conclusion, future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more substantial and clear insights by diversely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meaning of work and job embeddedness of MZ generation beauty service workers through broader and more in-depth analysis.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IV. 연구 분석
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별 및 연령 별 두피문신에 대한 인식이 시술 선택에 미치는 영향
- K-뷰티 글로벌 확산을 위한 문화적 현지화 전략: 인플루언서 소셜미디어 마케팅 통합 프레임워크
- 반영구화장사의 시술 경력에 따른 위생교육 필요도 차이 분석
- 엔더몰로지 적용이 비만개선 효과에 미치는 영향
- Stellar-Centella-Fish collagen(S-C-F) 복합 조성물이 섬유아세포에서의 피부 재생 효과
- 미용 전문교과 적용을 위한 반영구화장 교육 내용체계 개발
- MZ세대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지각된 일의 의미가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
- 메타버스⋅AI 기술을 활용한 K-뷰티 디지털 마케팅 생태계의 수출 효과 실증연구: 대구형 메타버스 융합 플랫폼을 통한 지역 뷰티산업 글로벌 브랜딩 전략
- 페이스 왁싱 후, 사후관리가 피부 변화와 소비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의상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의상분야 NEW
- 성별 및 연령 별 두피문신에 대한 인식이 시술 선택에 미치는 영향
- K-뷰티 글로벌 확산을 위한 문화적 현지화 전략: 인플루언서 소셜미디어 마케팅 통합 프레임워크
- 반영구화장사의 시술 경력에 따른 위생교육 필요도 차이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