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Bone-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 (BAMP)를 동반한 골격성 III급 성장기 환자의 치험례

이용수  0

영문명
Treatment of a growing patient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 bone-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 (BAMP)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두개안면기형연구소
저자명
Hyun Ji Lee Ji-Hyun Lee Kyung-Ho Kim Chooryung J. Chung
간행물 정보
『연세임상교정』제32권 제1호, 40~53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증례는 골격성 III급 과발산형 부정교합의 성장기 환자에서 BAMP를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성장 조절을 달성하고, 2차 교정으로 이상적인 교합과 안모를 달성하였다. 증례: 9세 여환이 최근 아래턱이 나온다는 주소로 내원하였다. 만4세경 반대교합 개선을 위해 페이스마스크를 시행하였으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가족력이 있었다. 10개월 간의 성장 관찰 결과 본 환자를 골격성 III급 과발산형 안모로 진단하였다. 환아의 SMI는 5단계로 성장 가속기에 돌입하였으며, 수직 고경의 감소가 가능한 bone-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 (이하 BAMP)로 성장 조절을 시행하기로 하였다. 총 33개월 간의 BAMP 치료 결과, 전후방적 골격성 I급, 정상 발산형의 이상적인 악골 관계를 달성하였다. 해당 시점에 환아의 SMI 9단계로 악골 성장의 가속기 종료 확인 후 2차 치료를 개시하였다. 구순 돌출과 총생 해소를 위해 각 분악에서 소구치 발치를 시행하였으며, 총 27개월간의 2차 치료로써 기능적인 교합과 이상적인 안모를 달성하였다. 결론: 골격성 III급 과발산형 안모의 성장기 환자에서 BAMP 치료와 2차 교정치료를 통해 전후방 및 수직적 악골 관계를 개선하였고, 기능적 교합과 이상적인 안모를 달성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case report presents successful growth modification using bone-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 (BAMP) followed by a second-phase orthodontic treatment to establish an ideal occlusion and facial profile in a growing patient with skeletal Class III hyperdivergent malocclusion. Case Report: A 9-year-old girl visited our clinic with a chief complaint of mandibular protrusion. She had undergone face mask therapy at the age of 4 years to correct the anterior crossbite and had a family history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fter a 10-month growth observation period,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a skeletal Class III hyperdivergent facial pattern. At the time of diagnosis, her skeletal maturity indicator (SMI) was stage 5, indicating the onset of a pubertal growth spurt. To address both sagittal and vertical discrepancies, BAMP therapy was initiated to achieve growth modification. After 33 months of BAMP treatment, an ideal skeletal Class I relationship was obtained with a normal divergence pattern. Upon confirmation of the completion of the pubertal growth spurt at SMI stage 9, the second-phase treatment was initiated. Premolars were extracted from all four quadrants to resolve lip protrusion and crowding. Functional occlusion and an ideal facial profile were successfully achieved after 27 months of comprehensive orthodontic treatment. Conclusion: BAMP treatment followed by a second-phase orthodontic approach effectively improved both sagittal and vertical skeletal relationships in a growing patient with a skeletal Class III hyperdivergent facial pattern, ultimately achieving functional occlusion and an ideal facial profile.

목차

초록
서론
증례
요약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Hyun Ji Lee,Ji-Hyun Lee,Kyung-Ho Kim,Chooryung J. Chung. (2025).Bone-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 (BAMP)를 동반한 골격성 III급 성장기 환자의 치험례. 연세임상교정, 32 (1), 40-53

MLA

Hyun Ji Lee,Ji-Hyun Lee,Kyung-Ho Kim,Chooryung J. Chung. "Bone-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 (BAMP)를 동반한 골격성 III급 성장기 환자의 치험례." 연세임상교정, 32.1(2025): 40-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