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구소득 격차가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삶의 만족도, 협동심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

이용수  3

영문명
Differential Effects of Household Income Gap on Adolescents' Social Relationships, Life Satisfaction, and Cooperativeness
발행기관
한국시민청소년청년학회(구 한국시민청소년학회)
저자명
김태한
간행물 정보
『시민청소년청년학연구 (구 시민청소년학연구)』제11권 제2호, 20~34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가구소득이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삶의 만족도, 협동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부모의 소득에 따라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부모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 이웃과의 관계), 삶의 만족도, 협동심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소득 계층별로 사회적 관계가 삶의 만족도 및 협동심에 미치는 효과가 다른지 분석하였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제6차 조사에 참여한 초등 패널(조사 당시 중학교 3학년)과 중등 패널(조사 당시 고등학교 3학년)을 부모의 소득을 기준으로 소득 상위 계층과 소득 하위 계층으로 나누고 두 계층의 청소년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패널과 중등 패널 모두에서 소득 상위 계층 청소년이 소득 하위 계층 청소년에 비해 교사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 이웃과의 관계가 더 긍정적이었으며, 삶의 만족도와 협 동심 역시 높았다. 둘째, 소득 하위 계층 청소년에게 부모, 교사, 친구, 이웃과의 긍정적인 관계는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유의한 요인이었다. 소득 상위 계층 청소년에게도 근접맥락의 사회적 관계가 대체로 유의하였으나, 초등 패널에서 친구와의 관계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중등 패널에서는 부모와의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소득 하위 계층에서 부모, 교사, 친구, 이웃과의 관계가 긍정적인 청소년은 강한 협동심을 보였다. 소득 상위 계층 청소년에게도 부모, 교사, 친구와의 긍정적 관계는 협동심을 높이는 변수였으나 이웃과의 관계는 협동심과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소득의 양극화가 청소년의 삶의 질과 성장의 차이로 이어질 수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우려스럽지만, 다양한 근접맥락에서의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가 소득 하위 계층 청소년에게 더 유리할 수 있다는 결과는 사회적 지지나 사회적 자본을 통해 소득 격차 효과를 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amily income on adolescents' social relationships, life satisfaction, and cooperativeness.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social relationships (relationships with parents, relationships with teachers,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relationships with neighbors), life satisfaction, and cooperativeness between adolescents from higher- and lower-income classes, an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s on life satisfaction and cooperativeness between the two class adolescents. I divided the participants i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6th wave into higher- and lower-income classes based on their parents' income, and compared the two groups of youth.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in both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panels, the higher-income class had mor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friends, and neighbors than the lower-income class, and higher levels of life satisfaction and cooperativeness. Second, for the lower-income clas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s, teachers, friends, and neighbor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The picture was broadly similar for the higher-income class; however, relationships with friends were not significant for life satisfaction in the elementary panel, and relationships with parents were not significant in the secondary panel. Third, adolescents from lower-income families who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teachers, friends, and neighbors were more likely to exhibit strong cooperativeness. For the higher-income clas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cooperativeness; however, relationships with neighbors were not significant. While the study's findings that income polarization can lead to disparities in the quality of life and growth among adolescents are concerning, the finding that positive social relationships are more favorable for adolescents from lower-income families is somewhat comforting, as it suggests that they may mitigate the effects of income gap.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태한. (2025).가구소득 격차가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삶의 만족도, 협동심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 시민청소년청년학연구 (구 시민청소년학연구), 11 (2), 20-34

MLA

김태한. "가구소득 격차가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삶의 만족도, 협동심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 시민청소년청년학연구 (구 시민청소년학연구), 11.2(2025): 20-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