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몰입 완화를 위한 ‘자전거 활동’ 참여 경험 연구 : 광명시 청소년 스마트폰 과몰입 완화 심리지원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Bicycle Activities’ to Alleviate Smartphone Addiction among Adolescents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상담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청소년상담학회지』제6권 제2호, 45~6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륜경정총괄본부’의 지원으로 ‘심리상담센터 마음씨’에서 광명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과몰입 완화를 위해 진행한 ‘자전거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들의 프로그램 참여 경험의 의미를 찾고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현상학적 질적연구로 12세부터 17세 청소년 총 14명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2024년 11월 9일부터 12월 31일까지 심층 인터뷰를 통해 ‘스마트폰 과몰입 완화를 위한 자전거 활동’에 참여했던 주관적 경험의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청소년들의 주관적 경험에 대한 의미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Giorgi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총 29개의 의미단위와 11개의 하위주제와 4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4개의 본질적 주제로는 ‘특별할 것 없는 일상’, ‘함께하는 즐거움’, ‘바람을 가르는 시원함’, 그리고 ‘선택과 집중’ 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몰입을 완화시키는 ‘함께하는 프로그램’과 ‘다양한 청소년의 여가활동’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교육 및 사회 서비스 제공’의 실천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upported by the Korea Cycle Racing Association and conducted by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center “Maeumssi,” aimed to explore the lived experiences and perceived meanings of adolescents in Gwangmyeong City who participated in a bicycle activity program designed to alleviate smartphone overdependence. Employing Giorgi’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study involved in-depth interviews with 14 adolescents aged between 12 and 17, conducted from November 9 to December 31, 2024.
The research sought to uncover the subjective meanings embedded in thei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The analysis yielded 29 meaning units, which were further categorized into 11 subthemes and 4 essential themes: “Ordinary but repetitive daily life,” “Joy of togetherness,” “Refreshing freedom through the wind,” and “Focus through choice.”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tructured, shared activities and diverse leisure opportunities as practical approaches to reducing smartphone overuse among adolescents. The study offer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and social service interventions aimed at promoting healthier digital habits and supporting youth well-being.
목차
I.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