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건진료 전담공무원 전수자료를 활용한 근무 경력에 따른 직무 역량과 필요 역량 간 차이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Nationwide Analysis of Job Competency Gaps According to Work Experience among Public Health Practitioner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농촌간호학회
- 저자명
- 김선정 임은실
- 간행물 정보
- 『한국농촌간호학회지』제20권 제1호, 65~7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differences in job performance competencies and perceived competency needs according to work experience among public health practitioners, utilizing nationwide census data, to inform the development of career-stage-specific training programs.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1,398 public health practitioners. Competency levels were compared across three career groups(<5 years, 5~10 years, and >10 years) using x2 tests and one-way ANOVA. Results: Practitione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both job performance and perceived competency needs, particularly in domains such as health promotion, program planning, and leadership.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ose with less than 5 years and those with 5~10 years of experience. Primary health care competency consistently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both performance and perceived need across all groups, whereas strategic planning com petencies-including analytical assessment and report writing-were rated comparatively low. Conclusion: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evolving role of public health practitioners from clinical service providers to coordinators of integrated care.
Tailored training programs that reflect career stages are essential to enhance key competencies, particularly in planning and coordination, and to strengthen the implementation of community-based integrated care.
영문 초록
목차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만성 정신질환자 대상 보건소 사례관리 사업의 종단적 효과분석
- 노인 대상 비대면 건강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체계적문헌고찰과 메타분석
- 자살에 대한 태도와 자살 행동에 대한 위험 요인 분석: Y시 정신건강실태 조사 활용
- 부인암 생존자의 하지 림프부종 적응 경험
- 보건진료 전담공무원 전수자료를 활용한 근무 경력에 따른 직무 역량과 필요 역량 간 차이 분석
-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mong Rural Korean Adults: Analysis of the 2022 KNHANES
- 농어촌 일차의료에서 전문간호사의 활용: 미국, 캐나다, 호주, 영국 사례의 시사점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한국농촌간호학회지 게재논문의 연구동향 분석(2006~2024년)
- 의료취약 농촌 지역 노인을 위한 보건진료소 일차보건의료서비스 제공 사례: 마을회관 군과 가정방문 군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