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사의 기본 교육과정 AI 디지털 교과서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술수용모델(TAM) 기반 분석
이용수 5
-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Use of AI Digital Textbooks in the Basic Curriculum: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Based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연 이미경 옥민욱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8권 제2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AIDT 역량과 지각된 유용성, 교육혁신 인식이 기본 교육과정 AIDT를 사용하려는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전국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총 329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및 직·간접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특수교사의 AIDT 역량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지각된 유용성은 교육혁신 인식과 사용 의도에 각각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혁신 인식은 사용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AIDT 역량은 사용 의도에 직접적으로도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간접효과 분석 결과에서는 지각된 유용성을 매개로 한 단일 간접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지각된 유용성과 교육혁신 인식을 경유한 이중 매개 경로는 95% 신뢰구간 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경향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AIDT 역량과 인지적 인식이 AIDT의 수용과 실천 의도 형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 도출된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 대상의 AIDT 역량 강화 및 인식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IDT competence, perceived usefulness, and awareness of educational innovation on their intention to use AIDT in the basic curriculum. A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data from 329 respondents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mong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IDT The results indicated that AIDT competence significantly influenced perceived usefulness, which in tur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awareness of educational innovation and the intention to use AIDT. Awareness of educational innovation also directly and positively affected usage intention, and AIDT competence itself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intention to use. Mediation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single mediation effect through perceived usefulness, as well 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ouble mediation pathway through perceived usefulness and awareness of educational innovation, within a 95% confidence interval.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pivotal rol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IDT competence and cognitive perceptions in shaping their acceptance and intention to adopt AIDT. Based on these key findings, the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enhancing AIDT competence and improving awareness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