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성 도박중독자의 회복 경험: 질적 메타종합 연구
이용수 21
- 영문명
- Recovery Experience of Male Gambling Addicts: A Qualitative Meta-synthesis
- 발행기관
- 한국생애학회
- 저자명
- 김성은
- 간행물 정보
- 『생애학회지』제15권 제2호, 95~11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ynthesize qualitative research on the recovery experiences of male gambling addicts using a meta-ethnographic approach. While qualitative research on gambling recovery has increased, the recovery process of male gamblers remains underexplored, and limited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relevance of gender. To address this gap, nine qualitative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methodology proposed by Noblit and Hare (1988). The analysis yielded three overarching synthetic themes - “voluntary commitment to gambling abstinence,” “efforts to restore functionality and stability,” and “proactive life reconstruction” - that encompass 23 descriptive themes. These themes describe the complex interplay of psychological, relational, and soci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itiation and maintenance of abstinence, strategies to prevent relapse and promote recovery, process outcomes, and the transformation of self-identity during the recovery process. While the included studies did not examine gender in gambling recovery the findings drawn exclusively from male participants highlight the need for a gender perspective in understanding gambling recovery. Drawing on findings from Western literature, this study discusses how gender norms and dynamics may shape recovery trajectories of Korean male gambling addicts.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gender-sensitive interventions and the value of incorporating a gender lens into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on gambling addiction recovery.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학습 몰입에 미치는 효과: 패션디자인학과 SW융합 수업을 중심으로
- 기혼근로자의 부부 공평성 인식이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 거주지역 및 주택유형에 따른 미취학아동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