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을 위한 철학적 의미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Play Support Competenc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생애학회
- 저자명
- 안효진 경혜영
- 간행물 정보
- 『생애학회지』제15권 제2호, 59~7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play support competency, a key concept in the revised Nuri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lay support competency refers to the teacher’s ability to recognize, facilitate, and meaningfully engage in children’s play i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ways. It proposes a reconceptualization of this competency based on philosophical insights. While the OECD’s current emphasis on competency—defined as a synthesi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has been broadly appli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dominant discourse continues to frame play primarily as an instrument of children’s learning. Drawing on the notions of play (Heraclitus), affect and conatus (Spinoza), will to power (Nietzsche), and assemblage and difference (Deleuze), the study reframes play as a spontaneous, embodied practice rooted in freedom and creativity. Furthermore, it critiques modernist conceptions of competency(e.g., standardization, measurement, or productivity-focused logic), instead approaching the notion through the lens of bodily agency and the process of becoming. Based on these theoretical perspectives, this study proposes three dimensions of play support competency for early childhood educators: 1) conceptualizing play beyond its function as a learning tool, 2) co-participating in play experiences with children, and 3) reimagining the curriculum as an active and creative process that generates new images of life.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