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장 내 괴롭힘을 목격한 사회복지사의 주변인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100
- 영문명
-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Bystander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Who Witness Workplace Bullying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부부가족상담협회
- 저자명
- 정영주 차수지
- 간행물 정보
- 『부부가족상담연구』제6권 제1호, 57~8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 내 괴롭힘을 목격한 사회복지사의 주변인 경험을 이해하고 주변인의 행동에서 나타난 특성 및 본질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함이다. 연구 참여자는 사회복지사 중 직장 내 괴롭힘을 목격한 주변인 6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Giorgi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9개의 구성요소와 41개의 하위 구성요소, 96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고, ‘갈등 속의 선택’이라는 핵심 경험을 밝혀냈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사회복지사를 직업으로 삼으며 ‘희망이 현실의 장벽에 부딪힘’을 겪고 ‘괴롭힘이 허용되는 조직’ 속에서 괴롭힘을 목격하며 갈등 속에서 ‘책임감, 이타심을 느껴 피해자 편에 섬’, ‘복잡하게 얽혀 불안정해지고 싶지 않아 방관자 역할을 자처함’, ‘나와 조직을 위한 선택, 가해자 편에 섬’을 선택했다. 이러한 행동은 ‘피해자 편에 섰으나 무력감, 회의감이 생김’, ‘두려움에 순응한 방관자 역할’, ‘가해자 편에 섰으나 원망과 후회의 감정이 생김’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변인이 상황에 따라 방어, 방관, 친가해 행동을 선택하지만 고통을 겪는다는 것을 보여주며, 주변인에 대한 이해와 지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괴롭힘을 목격한 주변인에 대한 심층적 질적 연구로서, 정서적, 행동적 맥락을 이해하는데 기여하며,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henomenological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who have witnessed workplace bullying, with the aim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 essence of bystander behaviors. Using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six social worker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Data analysis identified 96 meaning units, 41 sub-components, and nine core components, which culminated in the overarching theme of “choices amidst conflict.” Participants reported working in organizational environments where bullying was tolerated, leading them to make difficult and conflicted choices: supporting victims out of a sense of responsibility or altruism, remaining passive to avoid instability, or siding with perpetrators as a means of self-preservation. These choices often resulted in feelings of helplessness, fear-driven conformity, and regret. The findings suggest that bystander behavior is shaped by a complex interplay of person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emphasizing the need for comprehensive support system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bystander experiences in workplace bullying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 자녀를 둔 부모의 심리적 독립 수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 조현병 환자의 내재화된 낙인, 삶의 질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 효과
- 장애아 부모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직장 내 괴롭힘을 목격한 사회복지사의 주변인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결혼생활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중년 여성의 내면 부모-자녀 체계와 내면 가족 체계 치료 경험과 변화 인식
- 긍정심리학 기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우울, 삶의 의미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중년여성의 성인애착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와 정신건강의 순차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