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청소년과 비다문화청소년의 노동시장 성과 요인 비교: 특성화고 졸업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저자명
- 정성경 박미재 윤혜신 박환보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자료집』2024년 동계학술대회, 3~2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14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청소년과 비다문화청소년의 노동시장 성과 요인을 비교 분석하여 두 집단 간의 노동시장 성과 이행 기제를 파악하였다. 분석대상은 특성화고 졸업생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분석을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8-10 차 「한국교육고용패널」 의 1-3 차 자료를 혼합하여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경향점수매칭, 단계 Heckman 모형, 그리고 이항로지스틱 및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두 집단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요인이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두 집단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효과적인 진로교육의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의 성공적인 노동시장 이행을 지원하기 위한 체계적인 진로 및 직업교육에 대한 정책적 제언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I .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청소년과 비다문화청소년의 노동시장 성과 요인 비교: 특성화고 졸업생을 중심으로
- 학교가 사라질 때: 초등학교 폐쇄와 지역 인구변화의 관계
- 학생이 인식한 한국 사회의 공정성과 정서적 고갈의 종단적 관계: SNS 사용과 성별 이질성을 중심으로
- ‘한 줄 세우기’에 균열 내기: 중학생이 구성한 능력 개념의 의미 탐색
- “조금 돌아서 온, 지름길”:명문대 지역 분교 학생들의 내러티브에서 나타나는 학벌주의의 역설
- 라몽의 경계이론을 통해 본 사회적 불평등과 낙인에 대한 고찰: 학벌주의를 중심으로
- 후기근대 사회의 학교 변동과 교사노동의 재구조화: 초등교사의 노동경험을 중심으로
- 학교-지역사회 연계 중간지원조직의 의의 및 운영 방향에 대한 시론적 탐색: 중간지원조직 운영 사례 고찰을 중심으로
- 학교 내 성소수자의 ‘패싱’ 양상에 대한 비판적 연구: 중·고등학교 교사, 또래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해방이후 해외 고등교육 유학의 역사와 의미 - 한국의 세대 토박이 연구자의 관점에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