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데이터 기술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비판적 검토: ‘스마트 학습지’ 플랫폼을 통한 학습관리 실천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36
- 영문명
- A Critical Examination on Educational Use of Data Technology: Focusing on Learning Management Practices via Smart Learning Platform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장정현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28권 제1호, 41~6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오늘날 인공지능으로 대표되는 데이터 기술의 활용이 맞춤형 교육의 실현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결정론적 믿음에 입각한 교육정책 담론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기술을 활용하는 교육 현장에서 인간 행위자와 기술의 관계가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주목하는 접근인 ‘기술과의 얽힘에 대한 탐구’를 소개하고, 이것을 ‘스마트 학습지’ 플랫폼을 통해 이루어지는 데이터 기반 학습관리에 관한 분석에 적용하였다. 연구문제는 두 가지로 설정하였다. 첫째, 스마트 학습지 플랫폼에 의해 제공된 학습데이터를 활용하는 과정은 어떤 실천들을 포함하는가? 둘째, 데이터 기술은 그러한 실천에 어떤 조건을 제공하는가? 연구결과에 따르면, (1) 데이터 기반 학습관리는 단순히 데이터 기술이 제공하는 결과물을 수용하는 것 이상으로 데이터에 맥락적 의미를 부여하는 행위자들의 실천들로 이루어지는 한편, (2) 데이터 기술은 학습이라는 총체적 과정을 환원주의적으로 이해하는 인식론을 촉진함으로써 행위자들이 데이터에 의해 평가되고 관리될 수 있는 주체들로 재구성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데이터 기술의 교육적 활용에서 우선시되어야 할 것은 기술과의 관계 속에서 교사와 학생이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그러한 노력을 뒷받침하는 정책 설계·실행·연구 차원의 방안들을 제안한다.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discourse of educational policy that assumes the utilization of data technology, represen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I), will inevitably lead to the realization of personalized education. To this end, it introduces the approach of "inquiry into entanglement with technology," which focuses on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ctors and technology is constructed in educational settings where data technology is employed. This approach is then applied to the analysis of data-driven learning management in the context of self-directed smart learning platforms. The study addresses two main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practices are involved in the use of learning data provided by smart learning platforms? Second, what are the conditions data technology provides for such practices?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1) data-driven learning management consists of practices in which actors actively assign contextual meanings to data, rather than merely accepting the outcomes provided by data technology. (2) Data technology influences the reconstruction of actors as subjects that can be assessed and controlled by data by promoting an epistemology that lowers the holistic process of learning to a reductionist understanding. In conclusion, the study emphasizes that the priority in the educational use of data technology should be ensuring that teachers and students can exercise autonomy in their relationship with technology. It also proposes policy design, implementation, and research strategies to support these efforts.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빅데이터는 ‘맞춤 교육’을 꿈꾸는가?
2. 데이터 기술과의 관계 맺음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3. 연구 방법 및 과정
4. 온라인 학습관리교사의 학습데이터 활용 양상
5. 데이터 기술이 만든 교육적 풍경
6.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