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K-POP 안무저작권 대중 인식 분석: 언론보도와 유튜브 댓글을 중심으로
이용수 9
- 영문명
- A Study on the Public Perception of K-POP Choreography Copyright Using Text Mining: Focusing on Media Reports and YouTube Comment
- 발행기관
- 한국실용무용학회
- 저자명
- 김예진
- 간행물 정보
- 『한국실용무용학회지』제2권 제2호, 21~3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무용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과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K-POP 안무저작권에 대한 유튜브 댓글과 언론보도 댓글의 키워드를 분석해 대중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한다. 1998년부터 2024년 5월까지 'K-POP 안무저작권'을 검색어로 지정해 언론보도와 유튜브에서 가장 댓글이 많이 달린 상위 10개의 콘텐츠를 선정, 각각 537건과 1,224건의 댓글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언론보도 댓글에서는 '표절', '소속사', '그룹' 등의 키워드가 자주 나타났고, TF-IDF 분석에서는 '짝퉁', '불필요', '난리' 등 부정적인 단어가 두드러졌다. 유튜브 댓글에서는 '음악', '영상', '커버' 등의 키워드가 자주 나타났으며, TF-IDF 분석에서는 '응원', '가능', '필요' 등 긍정적인 단어가 두드러졌다. 주요 토픽으로는 언론보도에서 '아이돌 그룹 저작권 침해 사례'와 '안무저작권 실현 가능성', 유튜브에서는 'K-POP 안무저작권 확립에 대한 움직임', '영상 및 음악저작권과 안무저작권의 상관관계', 'K-POP 안무저작물 출처 표기법' 등이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K-POP 안무저작권에 대한 대중의 인식은 표절 문제와 안무가 권익 보호에 집중되어 있으며, 최근 5년간 지속적으로 다뤄진 이슈로 법적 장치 마련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ublic's perception by analyzing keywords in YouTube comments and media report comments on K-POP choreography copyrights using text mining and topic modeling techniques. From 1998 to May 2024, K-POP choreography copyrights were designated as search words, and the top 10 most commented content on media reports and YouTube was selected, and 537 and 1,224 comm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pectively. As a result, keywords such as "plagiarism", "agency", and "group" appeared frequently in media report comments, and negative words such as "fake", "unnecessary", and "scurry" were prominent in TF-IDF analysis. Keywords such as "music", "video", and "cover" often appeared in YouTube comments, and positive words such as "cheering", "possible", and "need" were prominent in TF-IDF analysis. Major topics included "idol group copyright infringement cases" and "choreography copyright feasibility" in media reports, "movement on establishing K-POP choreography copyrights," "correlation between video and music copyrights" and "K-POP choreography works source notation" in YouTube. Through this, the public's perception of K-POP choreography copyrights is focused on plagiarism and the protection of choreography rights and interests, and the need to prepare a legal mechanism is emphasized as an issue that has been continuously addressed over the past five yea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무용분야 NEW
- 대학생이 인지한 아이돌에 대한 구성요소 중요도 및 관심도의 영향 관계 연구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K-POP 안무저작권 대중 인식 분석: 언론보도와 유튜브 댓글을 중심으로
- 국내 실용무용 코레오그래피 교육의 개선 방향과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