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인공지능) 적용 교육과정 개발 모델 제시를 위한 관련 연구 동향 탐색
이용수 101
- 영문명
- Exploring Research Trends for Proposing AI-Based Curriculum Development Models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허지원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4권 제3호, 833~85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9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국내외 AI 기반 교육과정 연구 406편을 분석하여, AI 기술이 교육과정의 설계, 운영,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명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AI 기술의 교육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것과 달리, 본 연구는 ‘교육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차별성을 갖는다. 또한, 국내외 연구를 비교·분석하여 지역별 연구의 차이와 공통점을 도출하였다. 텍스트마이닝, 토픽모델링,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주요 연구 동향을 분석할 결과, 국내 연구는 교육과정의 구조적 개선과 제도적 적용에 초점을 맞춘 반면, 국외 연구는 개인화 학습 도구 개발과 혁신적 교수법 적용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또한, AI 교육과정 연구에서 다루어지는 주요 주제가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AI 기반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와 의미있는 시사점이 AI 기반 교육과정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교육 혁신과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406 research papers on AI-based curriculum publish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from 2019 to 2024, highlighting the impact of AI technology on curriculum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broadly examined AI’s influence on education, this study focused specifically on "curriculum," establishing its distinctiveness. Additionally, a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identified regional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Using text mining, topic modeling, and network analysis, the study examined key research trends, revealing that domestic research emphasized structural improvements and institutional applications of curricula, whereas international research focused on developing personalized learning tools and applying innovative teaching methods. Furthermore, by analyzing the temporal trends of key topics in AI-based curriculum research, this study provides a valuable foundation for exploring future directions in AI-driven curriculum development. The findings and insights derived from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guide AI-based curriculum studies and serve as fundamental resources for advancing educational innovation and quality improve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유전자 조절 개념 학습을 위한 실험 프로그램 개발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삶의 만족도에 대한 변화궤적 및 종단적 관계 탐색
- 과학 교과 내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 일반학생과 과학영재학생의 인식 비교
- 대학 진학에 요구되는 학력 요소에 대한 지역별 학부모와 교사의 관점 비교 –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중학생의 스트레스, 부모와의 의사소통, SNS 이용 동기가 SNS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좋은 문법 수업’에 대한 학습자와 교사 인식의 의미 연결망 분석
- 생태학의 주요 개념에 대한 예비 생물교사의 이해 유형 분석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또래갈등해결전략의 순차적 매개효과
- AI(인공지능) 적용 교육과정 개발 모델 제시를 위한 관련 연구 동향 탐색
- 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 (GED) 초등 과학 역량중심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교사의 질문 유형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