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간디의 고집-사뜨야그라하(Satyāgraha)와 두라그라하(durāgraha)

이용수  388

영문명
Gandhi's Stubbornness-Satyāgraha and Durāgraha
발행기관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저자명
박금표 김진영
간행물 정보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32권, 99~110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1920년대 비협조 운동 중지, 1930년대 불가촉천민 분리선거권 저지, 1940년대 힌두 무슬림 단합 기도회 등을 분석하여 간디의 사뜨야그리하, 신념, 고집 등의 특성을 고찰했다. 먼저 사뜨야그라하와 두라그라하의 대조개념을 살펴보고 뿌라나문헌에서 정의한 두라그라하의 부정적 고집의 영상을 검토했다. 고전 텍스트가 제시하는 고집과 신념의 의미가 간디의 시대적 사상을 완전히 투영할 수는 없지만, 그의 철학에 바탕이 되는『기따』에서의 고집과 신념의 텍스트적 맥락은, 사뜨야그라하와 두라그라하의 진의를 파악할 수 있는 논리적 근거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1922년 2월에 짜우리 짜우리에서 발생한 폭력으로 비협조 운동을 중단시킨 간디의 활동은 대중들에게 비폭력 원칙을 확고히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개심을 목표로 한 사뜨야그라하의 일환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1932년 불가촉천민의 정치 권리와 관련된 간디의 행위 자체는 사뜨야그라하로 볼 수 있지만, 그 고집의 결과는 구라그라하 성격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1947년 4월부터 힌두 사원에서 기도회를 개최하면서 꾸란을 낭송하고 이에 항의하는 사람들에게 나가라고 한 것은, 비록 힌두-무슬림 단합을 위한 노력이었다고 볼 수 있지만, 이는 엄격히 보자면 사뜨야그라하의 절차를 외면하고 균형을 잃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위대한 아뜨만'의 성자로 불리는 마하뜨마(Mahatma) 간디는 인도 독립을 최우선의 목표로 설정하면서 인도를 지키고자 노력했다. 본 연구의 간디를 바라보는 역사적 시선과 철학적 평가는 그의 고집스러운 신념에 대한 임의적 진단일 수 있으나 진리를 추구하고 인도를 위한 것이 무엇인가를 고민했던 한 시대의 성자의 발자취를 따라가고 이를 재발견하는 작업이라는 점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Gandhi’s characteristics such as Satyāgraha(眞理把持, holding firmly to truth), stubbornness and conviction by analyzing his declaration to suspend the Non-Cooperation Movement in the 1920s, his opposition to separate electorates for Untouchables in the 1930s, and his prayer meetings for Hindu-Muslim unity in the 1940s. Gandhi’s conviction, as reflected in these activities, can be interpreted as follows: In the 1920s, his conviction aligned with the spirit of satyagraha. In the 1930s, regarding the political rights of Untouchables, elements of duragraha began to emerge alongside satyagraha, showing a mix of both stances. By the 1940s, his focus on alleviating Hindu-Muslim tensions resulted in a practical loss of balance between conviction and stubbornness. The historical perspective and philosophical evaluation of Gandhi in this study may be an arbitrary diagnosis of his stubborn beliefs. However,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rediscovering the footsteps of a saint who sought truth and contemplated what was best for India.

목차

I. 서론
II. 사뜨야그라하에 대한 고집
III. 짜우리 짜우라 사건과 사뜨야그라하 중지 선언
IV. 불가촉천민 분리선거권 저지
V. 힌두-무슬림 단합을 위한 기도회
VI.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금표,김진영. (2024).간디의 고집-사뜨야그라하(Satyāgraha)와 두라그라하(durāgraha).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 99-110

MLA

박금표,김진영. "간디의 고집-사뜨야그라하(Satyāgraha)와 두라그라하(durāgraha)."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2024): 99-1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