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외국인 한국학 전공생의 이데올로기적 되어가기: 바흐친 대화주의에 기반한 한국어 학습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2

영문명
Ideological Becoming of Korean Studies Students in Europe: A Narrative Inquiry on Korea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based on Bakhtin’s Dialogism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황은하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22권 제1호, 49~92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1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유럽에서 한국학을 전공하는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과 사용의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언어 학습 과정이 근본적으로 사회적이라는 관점에서 학습자를 사회적 존재로 바라보는 본고는 바흐친의 대화주의(dialogism)를 바탕으로 언어 학습이 자아와 타자의 경계에서 일어나는 ‘정체성 작업’이자 ‘이데올로기적 되어가기(ideological becoming)’의 과정임을 확인하였다. 네덜란드와 한국이라는 각각의 공간에서 한국어를 매개로 겪는 참여자의 한국어 경험은 단지 언어 지식의 축적이나 의사소통 기술의 습득으로만 국한되지 않는 끊임없는 정체성 인식과 갈등을 동반하는 정체성 경험이었다. 특히 교환학생이라는 단기 유학을 포함한 다양한 시공간에서 한국어 학습과 사용을 통해 재구성되는 참여자의 정체성은 관계적, 정서적, 역동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참여자의 경험은 본질적으로 ‘타자’의 존재 없이는 불가능한 관계적인 과정이었고, 소속과 인정에 대한 정서적 갈망은 한국어 사용과 학습의 ‘투자’와 밀접하게 관련되었다. 또한 참여자의 학습 경험에서 나타나는 정체성 재구성은 역동적이자 점진적인 변화의 과정이며 순환적으로 지속되는 미완결적인 과정이었다. 따라서 참여자가 형성하는 정체성은 ‘한국학 전공생’, ‘한국어 학습자’, ‘언어 전문가’, ‘110% 네덜란드인’, ‘아시안적인 백인’ 등 다면적이며 때로는 모순적이었다. 따라서 참여자의 한국어 학습 경험은 한국어라는 타자와의 조우에서 발생하는 정체성 인식에 따른 갈등과 협상 속에서 자기 자신을 재발견하고 ‘선택적 동화’를 통해 자신의 ‘내적-설득 담화’를 구성해가는 총체적인 삶의 ‘이데올로기적 되어가기’를 이루고 있었다. 본고는 정체성 작업으로서 언어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한국어교육 관계자들의 언어 학습자에 대한 인식 재고 및 언어 학습에서 의사소통 기술 습득을 최우선으로 보는 기존의 관점에 변화가 필요함을 제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s and identity of Korean Studies students in Europe through narrative inquir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hich regards the learner as a social entity from the viewpoint that the language learning process is fundamentally social, is based on Bakhtin's Dialogism. This study confirmed that language learning is an 'identity work' as well as a process of 'ideological becoming.' In both the Netherlands and Korea, the experience of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use was a process of reconstructing identity beyond the accumulation of linguistic knowledge or the acquisition of communication skills. The process of identity reconstruction had three characteristics: relational, emotional, and dynamic. The participant's experience was essentially a relational process with the existence of the 'other.' The emotional eager for belonging and recognition was closely related to the investment of Korean learning. Also, the reconstruction of identity i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was not only dynamic & gradual, but also an unfinalized process. In addition, the identity of participant was multi-faceted and even contradictory according to an interlocutor. This paper emphasizes language learning as an identity work, and challenges the existing view, which regards communication skills as the top priority in language learning, suggesting critical approach towards interculturality.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며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한국어 학습 경험 이야기
5. 한국어 학습 경험 다시 이야기하기: 이데올로기적 되어가기
6.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은하. (2019).외국인 한국학 전공생의 이데올로기적 되어가기: 바흐친 대화주의에 기반한 한국어 학습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인류학연구, 22 (1), 49-92

MLA

황은하. "외국인 한국학 전공생의 이데올로기적 되어가기: 바흐친 대화주의에 기반한 한국어 학습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인류학연구, 22.1(2019): 49-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