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송광사 종교 활동의 교육적 측면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이용수  2

영문명
An Ethnographic Study on The Educational Use of Songgwang Temple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이미종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17권 제4호, 75~133쪽, 전체 5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1
9,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에 위치한 대한불교 조계종 송광사(松廣寺)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종교 활동을 교육의 관점에서 해석하여 기술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연구자는 2013년 9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송광사에서 일어나는 각종행사에 참여관찰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송광사에는 8명의 스님이 상주하고 있고, 송광사가 제공하는 각종 신행활동에는 200여명의 신도가 참여하고 있다. 송광사 주지 선법(善法)스님은 ‘불교의 깨달음이란 일체의 주관이 소멸된 상태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선법의 의도를 가지고 살아가는 삶의 자세’라고 가르친다. 그리하여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는 일체의 주관적 관념을 소멸하기 위하여 노력하기보다는 경전을 정확히 이해하는 일을 우선해야하는 것이다. 선법스님은 이러한 불교적 이해를 토대로 송광사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활동을 재조직한다. 기존의 신도들을 대상으로 행해지는 염불과 의례 중심의 각종 법회에 경전강의를 배치하며, 불교에 대한 사상적 이해를 갖고자 하는 재가자들을 위해서는 매주정기적으로 불교학당을 개설 운영하며, 불교에 대한 문화적 호기심을 갖고 있는 재가자들을 위해서는 템플스테이, 사찰음식 체험, 담마토크 등을 제공한다. 이러한 것들은 모두 선법스님이 생각하는 깨달음을 송광사 신도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과 함께 나누고 자하는 목적으로 기획된 활동들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송광사는 종교기관으로서의 사찰이기도 하지만, 그 자체로서 하나의 학교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은 깨달음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시대적 조건과 상대의 여건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오늘날의 학교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오늘날의 한국의 학교가 많은 문제를 안고 있는 것은 학교에서 학생들로 하여금 깨닫을 수 없도록 하고, 학생의 다양한 특성을 무시하고 일률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religious activities of Songgwang temple as part of an educational activity. I had conducted participant observation research on Songgwang temple before from September 2013 to October 2014. Songgwang temple is located in Wanjoo, Jeolabukdo of Korea. Eight monks and about 200 lay buddhists reside there. The chief monk of Songgwang temple thinks that the awakening of Buddhism does not depend on removing all of a person's subjectivity, but on living according to good will. He also thinks that meditation is not an appropriate way to arrive at enlightenment. If we want to be enlightened, the chief monk believes that we need to understand the Buddhist scriptures profoundly and correctly. The way to enlightenment reportedly vari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ocial state. The chief monk of Songgwang temple, based on these beliefs, has reorganized the religious activities of the temple. He has opened a new class of Buddhism academy, and inserts lectures of Buddhist scriptures during Buddhist ceremonies. He has also opened a temple stay program to the public to let them experience Buddhism. Considering these activities, Songgwang temple is not only a religious place, but also an educational place. The goal of the educational use of Songgwang temple is enlightenment itself, and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vary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participants. These are what the Korean schools lack and might be the cause of many problems that Korean schools have.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선법(善法)스님의 깨달음
3. 송광사(松廣寺)와 신도들
4. 불교인으로 살아가게 하는 길
5. 교육의 장으로서의 송광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미종. (2014).송광사 종교 활동의 교육적 측면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17 (4), 75-133

MLA

이미종. "송광사 종교 활동의 교육적 측면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17.4(2014): 75-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