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권 보호 5법’ 개정 과정 분석 :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이용수 88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vision Process of ‘Five Laws to Protect Teachers’ Education Rights’ : Based on Kingdon’s Policy Stream Model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유승민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4호, 281~31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기반으로 ‘교권 보호 5법’의 개정 과정을 분석하여, 향후 교사의 정당한 교육 활동 보호 정책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권 보호 5법’ 개정 과정에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하여 정책문제의 흐름, 정치의 흐름, 정책 대안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이를 중심으로 정책의 창이 열리게 된 사건 및 계기를 분석하고 정책 결정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정책활동가의 활동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첫째, 정책문제의 흐름에 ‘서이초 사건’이라는 명확한 사건이 존재하며, 이는 정책의 창이 열리는 주요 계기로 작용하였다. 더불어 사회적 이슈를 통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은 강력한 정치의 흐름과도 결합하였다. 둘째, ‘교권 보호 5법’ 개정과 관련한 정책대안의 흐름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권 보호 5법’ 개정 과정에서 정책활동가는 교직단체, 교육부, 국회의원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권 보호 정책 관련 선행연구와 반대되는 결과로 ‘교권 보호 5법’의 개정 과정에서는 정책활동가의 역할이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효율적인 교권 보호 정책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policies to protect teachers’ legitimate educational activities by analyzing the revision process of the ‘Five Laws to Protect Teachers’Education Rights’ based on Kingdon’s policy stream model. Specifically, Kingdon's policy stream model was applied to the revision process of the ‘Five Laws to Protect Teachers’Education Rights’ to examine the problem stream, the political stream, the policy stream. Focusing on this, the events and opportunities that opened the policy window were analyzed, and the activities of the major policy entrepreneurs who influenced the direction of policy decis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re is a clear incident called the ‘Seoi Elementary School Incident’ in the problem stream, and this served as a major opportunity to open the policy window. In addition, the formation of national consensus through social issues was combined with the strong political stream.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lack of the policy stream related to the revision of the ‘Five Laws to Protect Teachers’Education Rights’. Third, in the process of revising the ‘Five Laws to Protect Teachers’Education Rights’ policy entrepreneurs were identified as teachers’ organization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In addition, contrary to previous studies on teachers’ rights protection policies, the role of policy entrepreneur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in the process of revising the ‘Five Laws to Protect Teachers’Education Righ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effective teachers’ rights protection policies in the future were presented.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분석 결과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은유 분석을 활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실습생으로서의 나’에 대한 인식
- 교사들의 자율권 실천에 관한 협력적 실행연구: 학생평가를 중심으로
- 교육실습이 중등 예비교사들의 직업성숙과 지식·학습관에 미치는 영향
- 구도심 소규모학교에 전입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조직사회화 전략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중등교사가 지각한 분산적 리더십, 심리적 주인의식, 잡 크래프팅, 학교조직효과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 교사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초・중등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교사의 미래교육역량 진단지표 개발 및 타당화
- 중등음악교사의 AI 테크놀로지 활용 실태와 인식 및 AI 관련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 역량 분석
- 초등교사의 AI·디지털 리더십 발휘 양상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교육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 연구
- 다차원 정책 분석을 통한 교원역량개발지원제 도입 방안의 가능성과 한계 탐색
- 현장연계형 실습 교육과정 설계 가능성 탐색: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시범운영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교육대학교에서의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론’ 교과목 개발과 운영에 관한 실행연구
- 오스트리아 무직슐레(MusikSchule) 체제 도입을 위한 모차르테움(Mozarteum) 국립음악대학교 전문 음악교원 양성 교육과정(IGP) 고찰 연구
- 고교학점제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에 대한교사의 인식 및 실천 양상 사례 연구
- 초등교사의 교육 신념 변화 양상 분석
- ‘교권 보호 5법’ 개정 과정 분석 :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 교사 교육과정 공동체성 지원 체계 탐색:IB 중등프로그램(MYP) 국내 적용 사례를 바탕으로
- 예비 영유아교사의 학교현장실습과 만족도가 교직 인성 및 영유아교사 인성에 미치는 영향
- 교원양성기관 평가・인증제 도입의 필요성 및 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