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각장애인의 외출시 안전사고 경험과 생활만족 간의 관계 연구: 편의시설 활용정도와 안전사고에 대한 상황낙관성에 따른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이용수 17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s of Safety Accidents While Outdoor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Testing the Moderating Role of the Utilization of Reasonable Accommodation and Situational Optimism
- 발행기관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 저자명
- 이순민 오윤진
- 간행물 정보
- 『시각장애연구』제40권 제4호,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외출시 안전사고 경험이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칠 때 편의시설 활용정도와 안전사고에 대한 상황낙관성이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편의표집 방식으로 모집된 총 364명의 시각장애인 참여자가 자발적인 연구참여 동의 후 연구 설문에 응답하였다. Baron과 Kenny(1986)의 통계적 검증 절차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행하여 편의시설 활용정도와 안전사고에 대한 상황낙관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시각장애인의 외출시 안전사고 경험은 생활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편의시설 활용정도와 안전사고에 대한 상황낙관성은 외출시 안전사고 경험이 생활만족을 감소시킬 때 완충효과를 보이는 조절변수로 검증되었다. 결론: 시각장애인의 생활만족을 높이기 위해, 외출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편의시설 개선 방안과 안전사고 경험에 대한 상황낙관성을 증진시키는 방안들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experiences of safety accidents while outdoors affect life satisfaction among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whether the utilization of reasonable accommodations and situational optimism act as moderating variables. Method: A total of 364 visually impaired participants recrui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voluntarily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responded to the research survey. Following the statistical verification procedures by Baron and Kenny (1986),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utilization of reasonable accommodations and situational optimism. Results: The experiences of safety accidents while outdoo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The utilization of reasonable accommodations and situational optimism were verified as moderating variables that buffer the reduction of life satisfaction due to experiences of safety accidents while outdoors. Conclusion: To enhance life satisfaction for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we discussed suggestions for improving reasonable accommodations and increasing situational optimism to prevent safety accidents while outdoors.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제언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우리나라 시각장애인의 성별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체력상태 및 신체활동 수준 비교 분석
- 국내 20-69세 시각장애인의 점자 읽기유창성 능력
- 시각장애인의 점자 사용양상 실태조사 도구 개발 연구
- 시각장애인의 비시각 전시 체험에 관한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공간 오감」을 중심으로-
- 시각장애인의 외출시 안전사고 경험과 생활만족 간의 관계 연구: 편의시설 활용정도와 안전사고에 대한 상황낙관성에 따른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시각장애인 보조공학 지원 경험과 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지역사회 기관의 역할과 신생기술 등장을 중심으로
- 마이크로 티칭을 활용한 특수교육 시각장애 체육과 교육과정 적용에 대한 실행연구
- 강원특별자치도 공공건축물의 점자기반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 조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