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체육교과 내 표현 영역의 교수·학습 현황 분석
이용수 47
- 영문명
- Analysi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expression domain in physical education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저자명
- 박형란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연구』제26권 제4호, 93~10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교수·학습의 계획과 실제 현장에서 실천하고 있는 교수·학습의 계획을 표현 영역 중심으로 파악함으로써 표현 영역의 교수·학습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시 27개 중학교의 2024학년도 교수·학습 및 평가 계획서에 교수·학습 세부 계획의 내용을 각 학년별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타당성 확보를 위하여 스포츠전문위원회를 구성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명목 척도화하여 SPSS24.0으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2024학년도 중학교 1,2,3학년 모두 경쟁 영역에 교수·학습 활동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 도전, 표현, 안전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표현 영역 내 세부 영역에서의 교수·학습 활동 분포는 스포츠 표현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전통 표현과 현대 표현에 교수·학습 활동은 매우 미흡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표현 영역에 대한 문제는 학교 현장에서 뿐만 아니라 예비교사교육 과정에서부터 보다 강조되어야 할 것이며 본 연구의 결과는 표현 영역의 가치 확립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related to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expression domain by identify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aimed at i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actually implemented in the field, focusing on the expression domai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convenience sample was extracted from twenty-seven middle schools in S City, and the content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detailed plan in the 2024 school year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plan were analyzed by grade. In order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study, a sports expert committee was form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nominally scaled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24.0.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the competition domain were very high in all 1st, 2nd, and 3rd grades of middle schools in the 2024 school year, followed by health, challenge, expression, and safety domains. Second, the distribu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the sub-domains of the expression domain showed that sports expression was very high, an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traditional and modern expression were very insufficient. Therefore, in the future, the issue of the expression domain should be emphasized more not only in the school field but also in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course,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value of the expression domai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Ⅴ. 논의
VI.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Z세대와 학교 인성교육의 방향 - Z세대 청소년의 정신건강 실태를 중심으로 -
- 감염병 관련 SSI 프로그램의 효과성 탐색: 백신과 보건 서비스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 글쓰기 시대의 대학 글쓰기
- 과학교과연계 진로교육활동이 중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진로지향도에 미치는 영향
- 체육교과 내 표현 영역의 교수·학습 현황 분석
- Cognitive Engagement in AI-Supported Integrated Language Learning: A Comparative Study of CBI and TBI Using Bloom's Taxonomy
- 여중생이 지각한 교사지지와 학교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과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