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공동체 모임을 통한 소규모 어린이집 혼합연령반 보육교사의 경험 탐색 –놀이 중심 보육과정 실행의 어려움과 노력을 중심으로
이용수 71
- 영문명
-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Mixed-Age Class Childcare Teachers in Small-Scale Childcare Centers through Learning Communities: Challenges and Efforts in Implementing a Play-Centered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아동중심실천학회
- 저자명
- 안지혜 손진숙
- 간행물 정보
- 『아동중심실천연구』제19권 제2호, 45~6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혼합연령 반으로 구성된 소규모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학습공동체모임을 통한 놀이 중심 보육과정 실행 경험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 H군 H면에 위치한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사 3명을 대상으로 참여 관찰과 면담, 교사의 기록물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연구방법에 근거하여 의미를 분석하였다. 소규모 어린이집 혼합연령반 보육교사의 본질적 경험은 놀이중심 보육과정 실행에 대한 어려움과 이를 위한 노력으로 나타났다. 소규모 어린이집 혼합연령반 보육교사가 경험한 놀이 중심 보육과정 실행의 어려움은 ‘영유아 개별 지원의 어려움’, ‘영유아 간의 잦은 갈등 중재의 어려움’, ‘비슷한 놀이 수준 또래 형성의 어려움’, ‘관찰을 통한 영유아 놀이 지원의 어려움’으로 드러났다. 또한 소규모 어린이집 혼합연령반 보육교사의 놀이 중심 보육과정 실행을 위한 노력은 ‘원아 전체를 놀이구성원으로 바라보기’, ‘익숙한 교사주도에서 벗어나 변화 시도하기’, ‘모든 연령에 긍정적인 혼합연령반의 장점 바라보기’, ‘영유아 그리고 부모의 삶 지원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습공동체 모임을 통한 소규모 어린이집 혼합연령반 보육교사의 놀이 중심 보육과정 실행 경험을 통해 교사들의 보육과정 실행 변화 가능성, 혼합연령 보육에 대한 교육적 가치 재발견, 교사들의 지속적이고 협력적인 교류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experiences of childcare teachers in small-scale mixed-age classes as they implement a play-centered curriculum through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y meeting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s, and documentation involving three childcare teachers at a public daycare center in a rural area.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data were analyzed to uncover the essential experiences of these teachers, focusing on the challenges and efforts associated with implementing a play-based curriculum. The challenges encountered included “frequent challenges in mediating conflicts among children,” “obstacles in fostering peer relationships at similar play levels,” and “difficulties in supporting play through observation.” The teachers’ effort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were characterized by “viewing all children as active participants in play,” “shifting away from teacher-led approaches and embracing change,” “recognizing the strengths of mixed-age group settings that benefit all children,” and “supporting the overall well-being of both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by illustrating the potential for curriculum transformation through teacher efforts, rediscovering the educational value of mixed-age care, and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sustained collaborative exchanges among educators, as observed through the experiences of small-scale mixed-age childcare teachers in learning commun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