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그림책에 나타난 대중목욕탕 공간의 의미

이용수  18

영문명
Meaning of the Public Bath in Picture Book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김은심 유지안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1권 제1호, 49~6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창작 유아 그림책에 나타난 대중목욕탕 공간을 분석하여 의미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대중목욕탕이 등장하는 그림책 5권을 선정하고 질적 내용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그림책에 나타난 목욕탕 공간은 유아의 놀이욕구를 해소하는 공간, 이웃과 이웃의 경계를 넘어서는 만남의 공간, 현실과 환상을 연결해주는 공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가 경험하는 공간 중 하나인 대중목욕탕이 그림책에 어떻게 묘사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었으며 유아들이 목욕탕 공간과 어떠한 관계맺음을 하는지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가 대중목욕탕 공간을 어떻게 인식하고 유아의 경험과 관련지을 수 있는지 이해하도록 도울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ublic bath space shown in domestic children's picture books and examine its significance. For this purpose, five picture books with public baths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As a result, the bath space shown in the picture books became a space for children to relax their desire to play, a meeting place across the boundaries of neighbors and neighborhoods, and a space connecting reality and fantasy.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how the public bath, which is one of the spaces experienced by children, is represented in picture books was explained. These study results have implications in that they can be used to help children perceive public bath space to understand how it is associated with their experi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심,유지안. (2020).그림책에 나타난 대중목욕탕 공간의 의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1 (1), 49-69

MLA

김은심,유지안. "그림책에 나타난 대중목욕탕 공간의 의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1.1(2020): 49-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