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아 그림책의 친숙성이 교사-영아 간 책읽기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
- 영문명
- The Effect of Familiarity on Picture Book Reading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Infant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화 이송은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8권 제1호, 121~13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영아 간 책읽기 상호작용이 그림책의 친숙성 정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나는 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 1인과 영아 3인으로 구성된 책읽기 집단 10개에서 4권의 그림책을 읽는 과정에서 보이는 상호작용행동들을 비디오로 녹화 분석하였다. 4권의 그림책은 동물과 채소 등 동일 소재를 다루지만 구성 항목들에 있어서는 친숙성에 차이가 있는 책들로 선정하였다. 책읽기 상호작용행동은 교사의 지지적 읽기전략과 영아의 책읽기 몰입 행동으로 계산되었다. 연구 결과, 교사의 지지적 전략의 사용은 그림책의 내용이 친숙한 항목들로 구성된 책을 읽을 때 더 빈번하게 관찰된 반면, 영아의 책읽기 몰입은 항목의 친숙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항목의 친숙성을 넘어 소재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영아는 채소를 소재로 한 그림책을 읽을 때 훨씬 더 책읽기에 몰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보육시설에서 영아와 효율적인 책읽기 활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고려하여야 할 사항들과 차후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 the effect of familiar book on reading interaction between infant and teacher in day care center. The materials of the study are 4 picture books, in which matched two books include different items but treat equally on the same subjects. One subject is about animals; the other subject is about vegetables. One series of books were originally published in France and translated to Korean. In French picture books there were unfamiliar items with Korean. The other series were published in Korea and they have more familiar items with Korean than French books. Ten reading groups, composed of 3 infants (M=27.8 months, Range=24-30 months, N=30: 16 boys and 14 girls) and their one teacher, participated in the study. Reading interactions among them were videotaped and scored. The score of Infant's Reading Flow (IRF) and the score of Teacher's Supportive Reading Strategy (TSRS) were made by computations of various interaction scores. The results revealed that IRF sores are indifferent between familiar books and unfamiliar books. Instead, IRF sores are different between subjects of the books. Infants tend to absorb in reading the books about vegetables rather than about animals. But TSRS scor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familiar books and unfamiliar books. Also TSRS scor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subjects of the books. That is, TSRS scores are not different in the subject of animals but they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subject of vegetable. Through the discussions, we could insist on importance of the instruction which develop familiar methods to access to unfamiliar information during the reading book interaction.
목차
I.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결과 및 해석
IV. 결론 및 논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