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전쟁 혼혈인 김영도의 생애사 연구
이용수 100
- 영문명
- A Life History of Young-do Kim, a Mixed-race Person from the Korean War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에이미 헛친슨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7권 제3호,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질적연구는 대한민국 최초의 흑인 혼혈 체육 교사이자 야구 감독이었던 김영도 선생의 생애사를 다룬다. 김영도 선생은 한국인 어머니와 미군 병사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다. 뚜렷이 다른 피부색으로 인해 그는 무수히 많은 차별과 폭력에 노출되었으며, 그 아픔은 자녀들에게도 대물림되었다. 2018년 5월 첫 인터뷰를 시작으로 2022년 9월 다큐멘터리 촬영까지, 김영도 선생의 인생을 다각도로 듣고, 보고, 기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그의 생애사가 완성되었다. 이를 통해 1950년대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혼혈인이 겪어야 했던 차별적 인식과 사회 억압적 구조를 발견했다. 한 개인이 차별적인 사회구조를 돌파하며 진정한 교육자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여러 스승들과 야구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Qualitative research into Kim Young-do's life history offers valuable insights into the societal pressures faced by individual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stemming from the Korean War. Kim Young-do's mixed-race heritage sheds light on the profound social structural challenges prevalent in Koran society from the 1950s to the mid-1980s. In 1987, Kim Young-do im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where he encountered significant obstacles due to language barriers. This transition marked a pivotal phase in his life, highlighting the complexities of adapting to and integrating into a new cultural and linguistic milieu. The study emphasizes how historical events and social structures continue to shape individual experiences, particularly in terms of cultural and linguistic barriers affecting immigrant identities. It also explores baseball as a transformative catalyst in Kim Young-do's journey, significantly influencing his educational pursuits.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he dedicated himself to a career in education, illustrating the vital role of educators and paternal figures in shaping the lives of students. This research underscores the intricate interplay between identity, societal expectations, and personal ambitions in multicultural contexts, emphasizing the enduring impact of educational guidance and mentorship on individual trajector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대한민국 1세대 혼혈 야구인의 생애 의미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성화고등학교 이주배경학생 진로교육 문제점의 요인 및 개선방안: 외국출생 외국국적 학생을 중심으로
- 이주배경 중등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표준 한국어 의사소통》 분석 -상호문화 의사소통 역량을 중심으로-
-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다문화 교육 요소 분석
- 다문화 일반아동 및 언어발달지연아동의 정서행동적 특성과 언어능력 간 관계
- 유자녀 여성 이주민의 ‘괜찮은 일’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다문화 미디어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
- 다문화 배경 교사의 교직 경험에 대한 자서전적 성찰
- 한국전쟁 혼혈인 김영도의 생애사 연구
- 한족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에서의 창업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한국 다문화 사회 구성원의 정체성 인식에 대한 교육적 전환 - 다큐멘터리 “10년 후 동창생”방송 콘텐츠 분석 사례 중심으로
- South Korean Educators’ Experience with North Korean Defector Women and Their Young Children Through a Lens of Cultural Competence
- 경기 지역 결혼이주여성 자녀 대상 이중언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및 영향요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