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 코칭역량과 사회적지지가 청소년의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9
- 영문명
- The effects of Adolescents' Coaching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 on the Flourishing of Adolescents' Happiness
-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 저자명
- 임희정 도미향
- 간행물 정보
- 『부모교육연구』제21권 제3호, 51~7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코칭역량과 교사, 부모 및 친구의 사회적지지가 청소년의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청소년의 긍정적 성장과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13세에서 만 18세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422부의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SPSS와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의 코칭역량과 사회적지지, 그리고 청소년의 행복플로리시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긍정 정서 역량, 강력 질문 역량, 목표 실행 역량, 동기 촉진 역량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행복플로리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지지 요인 중 부모와 친구의 지지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행복플로리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코칭역량과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행복플로리시에 직·간접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함으로써, 청소년의 긍정적 성장과 행복한 삶을 위한 교육적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coaching competencies and social support from teachers, parents, and friends on the flourishing of adolescents. The goal is to provide educational foundational data for the growth and healthy, happy lives of adolesc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422 adolescents aged 13 to 18 and analyzed using SPSS 22.0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dolescents' coaching competencies, social support, and their flourishing. Specifically, higher levels of positive emotion competency, powerful questioning competency, goal execution competency, and motivation facilitation competency positively influenced the flourishing of adolescents. Among the social support factors, higher levels of support from parents and friend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flourishing of adolescents.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coaching competencies and social support of adolescents are significant variables that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 their flourishing, thereby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educational strategies to foster positive growth and happy lives for adolescents.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