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자기결정성과 행복증진활동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6

영문명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and Happiness Enhancement Activities on the Flourishing of University Students
발행기관
한국부모교육학회
저자명
김응자
간행물 정보
『부모교육연구』제21권 제3호, 5~2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결정성과 행복증진활동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여 대학생의 행복플로리시 증진을 위한 의미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충청남도에 위치한 N대학교의 재학생 227명의 설문을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결정성과 행복증진활동, 행복플로리시간의 관련성을 알아본 결과 자기결정성이 높을수록 행복플로리시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복증진활동 수준이 높을수록 행복플로리시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결정성과 행복증진활동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기결정성이 높을수록, 행복증진활동을 많이 참여할수록 행복플로리시는 높아졌으며, 자기결정성이 행복증진활동에 비해 상대적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격적인 취업과 진로결정을 하기 전인 대학생들의 행복플로리시 증진을 위해 개인 내적 또는 외적으로 어떠한 노력을 하고 지원을 해야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접근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ve influence of self-determination and happiness promotion activities on the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meaningful data for the promotion of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study, 227 university students from N and B universities in Chungcheongnam-do were surveyed and analyzed using SPSS 22.0 and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happiness promotion activities, and the flourishing of university students, higher self-determination, higher flourishing and higher happiness promotion activities resulted in the higher flourishing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when examining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and happiness promotion activities on the flourishing of university students, the flourishing of university students increased as self-determination and happiness promotion activities increased, and self-determination had a higher relative influence than happiness promotion activities. Through these results, the study provides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approach of how to develop efforts and to individually or externally support for promoting the fluency of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before full-fledged employment and choosing a career.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응자. (2024).대학생의 자기결정성과 행복증진활동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부모교육연구, 21 (3), 5-26

MLA

김응자. "대학생의 자기결정성과 행복증진활동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부모교육연구, 21.3(2024): 5-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