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의 주관적 건강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분석: 자녀의 장애유형 차이를 중심으로
이용수 117
- 영문명
- Mediation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i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Differences in the Types of Disabilities
- 발행기관
- 삼육대학교 미래사회와기독교연구소
- 저자명
- 김지연 손애리
- 간행물 정보
- 『융합학문과 기독교』제5권 제1호, 67~8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주관적 건강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우울증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자녀의 장애 유형에 따라 부모 그룹 간에 차이가 있는지 추가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개발원의 장애인삶 패널조사의 4차년도 자료 중 장애아동 부모 1,9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대상 중 신체적 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는 1,234명, 정신적 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는 680명이다. 독립변수는 주관적 건강수준, 종속변수는 삶의 만족도, 매개변수는 우울, 통제변수는 성별, 연령, 자녀의 장애유형, 자녀의 장애정도를 적용하였다. 주요 변수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건강 및 삶의 만족도는 정신적 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보다 신체적 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가 더 높았고,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우울은 정신적 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가 더 높았지만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주관적 건강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우울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두 그룹의 장애 자녀 부모 모두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신적 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에 있어 그 매개효과가 신체적 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보다 더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의 정신적 안녕을 지원하기 위한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also explored whether differences exist between groups of parents based on their child’s disability type. The study used a sample of 1,914 parents from the fourth year of the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including 1,234 parents of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680 parents of children with mental disabilitie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subjective health, the dependent variable was life satisfaction, the mediator was depression, and the control variables were sex, age, type of disability, and level of disability. Disabilities were categorized as either physical or mental. Analysis showed that subjective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Although depression was higher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mental disabilities,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diation model tests indicated that the models were significant for both groups of parents. However, parents of children with mental disabilities were more likely to be affected by depression. The results provide a policy basis for offering social services to support the mental wellbeing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God’s Code and Man’s Quest: Christian Ethical Reflections on Genomic Advancements
- 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의 주관적 건강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분석: 자녀의 장애유형 차이를 중심으로
- To Make Man Whole: The Early Developments of the Seventh-day Adventist Health Message and Mission
- 설명과 이해의 변증법으로써 실재에 대한 방법론적 고찰: 맥그래스의『과학 신학』과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을 중심으로
- 한나는 왜 아들을 원했는가?: 새로운 세상에 대한 염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