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OVID-19 상황의 초등 체육교과 표현 영역 관련 연구 탐색

이용수  174

영문명
Exploring Research on the Expression Area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Subjects during COVID-19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이강순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44권 제2호, 33~41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초등학교 체육교과 표현 영역과 관련해 어떠한 연구가 진행됐는지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대면 수업을 대체한 비대면 수업의 표현 영역 관련 연구 방향을 알아보고, 현재 시점에서 기존의 온라인 수업을 보완하여 다양한 수업 방법의 안정화와 공유, 또한 원활한 표현 영역 수업의 진행을 기대해 본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로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 학술지를 발간하는 학술단체의 학술지 정보, 논문 정보 및 참고문헌을 DB(Database)화하여 논문 간 인용 관계를 분석하는 시스템인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Korea Citation Index)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현 영역 관련 연구 방향으로 코로나 시대 이전의 기존 대면수업과 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기기를 활용한 비대면 수업의 장점을 결합하여 적절하게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었다. 둘째, 원활한 표현 영역 수업 진행을 위해 온라인 수업과 신체활동 중심의 오프라인 수업이 병행하고 포괄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재구조화와 재체제화가 연구되었다. 또한 온라인과 오프라인 표현 영역 수업 방법 개발과 콘텐츠 연구, 수업 콘텐츠 활용을 위해 플랫폼 마련, 이를 실천해 나갈 수 있도록 현장 보급이 연구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previous research on the expression area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subjects in the COVID-19 situation. Accordingly, we consider the direction of research in the expression area of non-face-to-face classes that have replaced face-to-face classes. Moreover, this study anticipates the stabilization and sharing of various teaching methods by supplementing existing online classes at present and the smooth progression of expression area classes. This study is a literature review on the Korean Journal Citation Index (KCI), a system that analyzes citation relationships between papers by converting journal information, paper information, and references from academic organizations publishing academic journals registered (candidate)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into a databas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KCI.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expression research, various methods have been investigated to conduct classes appropriately by combining the advantages of existing face-to-face classes prior to the COVID-19 period and non-face-to-face classes using online devices during the COVID-19 era. Second, to ensure that classes in the area of expression run smoothly, research was conducted on restructuring and re-systemizing the curriculum so that online classes and physical activity-centered offline classes can run concurrently. Furthermore, research was conducted to develop teaching methods for online and offline expression areas, research content, and a platform to use teaching content. Such method will be disseminated for implement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강순. (2024).COVID-19 상황의 초등 체육교과 표현 영역 관련 연구 탐색. 교육논총, 44 (2), 33-41

MLA

이강순. "COVID-19 상황의 초등 체육교과 표현 영역 관련 연구 탐색." 교육논총, 44.2(2024): 33-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