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지향 환경교육 실행 방안 탐색
이용수 394
- 영문명
- Exploring Early Childhood Teachers’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Environmental Education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한송이 김고은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4권 제2호, 97~11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들의 지속가능발전지향 환경교육 실행 방안에 대해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속가능발전과 관련한 환경교육 연수나 장학에 1회 이상 참여한 적이 있고 자신의 학급에서 10개월 이상 지속가능발전지향 환경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천해 온 유아교사 10인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유아들이 환경문제로 인해 일상의 불편함과 제약을 경험하는 상황을 포착하여 유아들이 자신의 책임과 역할을 민감하게 인식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이어갔다. 또한 친환경적 놀잇감과 재료에 기반하여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놀이환경을 구성하고 유아의 흥미와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자료와 활동을 시도해 가면서 지속가능발전의 방향성에 부합하게 환경교육을 실시하고자 노력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유아의 가족 및 지역사회 구성원들과 함께 협력하여 유아가 현재를 살아가는 시민으로서 자신의 삶 속에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책임과 역할을 경험할 수 있는 실제적이고 의미 있는 장을 마련해주고자 하였다. 유아교사의 관점에서 실행 방안을 살펴본 본 연구 결과는 교사 지원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implement sustainable development- oriented environmental education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10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attended at least one environmental education training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nsistently practiced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ir classrooms for at least 10 months. The study’s findings revealed that the teachers engaged in meaningful interactions with the students to sensitize them to their responsibilities and roles in environmental issues by capturing their daily inconveniences and constraints and encourage improvement. They also attempted to implement environmental education following the principl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by organizing the play environment and using eco-friendly materials. Moreover, they tried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activities to keep children interested and engaged. Finally, the teachers worked with the children’s families and community members to create a practical and meaningful environment in which the children could learn about their responsibilities and roles in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as citizens. The study’s findings, which examined implementation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significant because they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eacher suppor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