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체육교사신뢰와 운동지속의도의 관계에서 스포츠자신감의 조절효과
이용수 155
- 영문명
- The Moderating Effect of Sports Confid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ducation Teacher Trust and Exercise Adherence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성훈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4권 제1호, 23~4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체육교사신뢰가 운동지속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스포츠자신감이 두 변인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D광역시 8개 중학교의 재학생 427명(남: 237, 여: 190)으로 표집하였고, 자료를 수집은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인과관계와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체육교사신뢰의 하위요인(성실성/능력) 모두 운동지속의도(경향성/강화성)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실성이 강화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스포츠자신감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능력이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스포츠자신감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능력이 강화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스포츠자신감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스포츠자신감 수준을 고려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trust on exercise adherence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analyze whether sports confidence h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27 students (male: 237, female: 190) from 8 middle schools in D city, and a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After collecting data,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first performed to verify validity and reliability. After tha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and the moderating effec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it was found that all sub-factor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trust(sincerity/ab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exercise continuity intention(tendency/reinforcement).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ports confidence was found in relationp to the effect of conscientiousness on reinforcement.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sports confidence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bility and tendency.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sports confidence was found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ability on reinforce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ㆍ놀이중심 교육 실행 과정에서 유아 참여권 보장을 위한 교사의 경험 탐색
- 예비 유아교사의 학습유형에 따른 PBL수업에 대한 인식
- 센다 미츠루의 건축이 유아교육기관의 놀이공간 구성에 주는 함의
- 음악 교육실습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체육교사의 교육전문직 준비과정에 대한 탐색
- 청소년의 미디어 활용능력에 따른 온라인 활동 및 오프라인 활동 경향 차이
- 중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메타인지와 그릿의 매개효과
- 미래 대학교육과 인재상의 방향성 탐색 연구 : 국내 대학 인재상 분석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야외 지질 학습장 개발 및 교수·학습자료 제안 -장흥군 유치면 대천리 중심으로-
- 해외 마음챙김 연구 동향
- 은유분석을 통한 예비중등교사의 '교사'에 대한 인식 연구
- 체육교사신뢰와 운동지속의도의 관계에서 스포츠자신감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