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통한 유보통합 정책 방향 연구
이용수 601
- 영문명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Integra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licies through the Perception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Educator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저자명
- 김소영
- 간행물 정보
- 『교육정치학연구』제31권 제2호, 207~22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보통합 정책에 대한 현황과 유보통합 관련 체제 및 법령, 유보통합 정책 관련 선행연구를 탐색하였다. 이를 통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유보통합 정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유보통합 정책의 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현재 정부는 유보통합 정책 실행을 위하여 관리체계 일원화 추진계획을 진행 중에 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유보통합 정책에 대한 관심을 지식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고, 유보통합 정책에 대한 관심과 유보통합과 관련 지식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유보통합 정책이 유아 교육과 보육의 동질성을 확보하여 모든 영유아가 평등한 교육 및 서비스를 받게 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넷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유보통합 정책에서의 현행 유치원 교사 자격증 소지자로 교사자격의 기준으로 삼고, 교사자격을 취득하는 방법은 지금의 형태로 유지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교사는 자격, 학력, 경력을 함께 고려하여 현행 국공립 유치원 교사와 동일한 처우를 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다섯째,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유보통합 정책의 목표는 유아교육·보육의 질 향상이며, 유보통합 정책의 갈등 해결을 위하여 이해집단 간 의견 수렴과 협의를 통해 공감대를 넓히는 과정이 우선한다
고 인식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유보통합 정책을 실현을 위한 관련 법령에 대한 개정이 시급하다. 둘째, 유보통합 정책에 대한 관심과 지식 향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유보통합 정책을 장기적 안목에서 진행해야 한다. 넷째, 유보통합 정책의 체제에서는 다양한 입장 간의 간극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 다섯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사양성 과정에서 유보통합에 대한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inclusive education policies and the perceptions of prospective preschool teachers regarding these polic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current government is promoting unified management systems for inclusive education policies. Secondly, prospective preschool teachers show more interest in inclusive education policies than in knowledge itself. Thirdly, prospective preschool teachers recognize the necessity of inclusive education policies because they ensure the similarity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enabling all young children to receive equal education and services. Fourthly, prospective preschool teachers believe that the qualification standards for teachers in inclusive education policies should remain similar to those of current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acquisition methods should be maintained in their current form. Fifthly, prospective preschool teachers perceive the goals of inclusive education policies as aim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Firstly, legislative amendments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policies are necessary for their implementation. Secondly, strategies for enhancing knowledge about inclusive education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Thirdly, inclusive education policies should be approached with a long-term perspective. Fourthly, ways to bridge gaps between various perspectives need to be considered. Fifthly, there is a need for curriculum development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유보통합 정책 현황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연합대학의 개념과 성공 요인에 대한 연구
- 고등학생이 인식한 교사 및 또래 관계, 학생중심 교육환경, 사회문화적 환경과 교권침해 경험의 연관 연구
- 윤석열 정부의 교육 거버넌스 개편과 신민영화 정책
- 고교 제도 변화와 정치 엘리트 충원의 관계 분석: 제22대 국회의원 지역구 선거 후보자를 중심으로
- 교육부의 공주교육대학교 총장 임용제청 거부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자율학교 특성화교육과정 실행에서의 미시정치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이 교육감 선거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교육감과 시・도지사 선거비용 비교를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통한 유보통합 정책 방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