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생이 인식한 교사 및 또래 관계, 학생중심 교육환경, 사회문화적 환경과 교권침해 경험의 연관 연구
이용수 397
- 영문명
- A Study on Association between Students’ Relationships with Teachers or Friends, Student-centered Educational Environments, Socio-cultural Environments and Violence against Teachers in High School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저자명
- 이혜나 문찬수
- 간행물 정보
- 『교육정치학연구』제31권 제2호, 25~5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회생태학적 관점에 기반하여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 학생중심 교육환경, 사회문화적 환경으로서의 제한적 성원권(차별 경험)이 교권 침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교육연구원의 경기학교교육실태조사 고등학교 대상의 2022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음이항 회귀분석(negative binomial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이 경험하는 관계 측면에서는 교사와의 긍정적인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교권 침해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또래 관계는 교권 침해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중심 교육환경의 변수들(학생중심 수업, 학생참여적 수업, 교육과정 만족도, 학생참여적 구조)은 교권 침해의 가능성을 유의하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문화적인 환경이라고 할 수 있는 제한적 성원권(차별 경험)은 교권 침해 경험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권 침해를 낮추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차별이 만연한 사회문화가 아닌 민주적인 환경을 경험하도록 학교 문화를 조성하고, 교사-학생이 상호 존중할 수 있고 학교 수업과 의사결정에서 학생이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학교의 교육환경이 개선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tudents’ relationships with teachers or friends, student-centered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limited membership(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s a sociocultural aspect on students’ violence against teachers based on a socioecological perspective.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was conducted using the 2022 high school data from GIE’s Gyeonggi-Do School Education Survey.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relationships experienced by students, relationships with teache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violence against teachers. However, students’ relationships with friends significantly increased violence against teachers. Second, student-centered educational environments in which students can participate and involve in class and school and be satisfied with curriculum significantly lowered the possibility of violence against teachers. Third, limited membership(experience of discrimina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violence against teache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s. First, to reduce violence against teachers,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chool culture for students to experience a democratic environment rather than a social culture in which discrimination is prevalent. Second, it’s important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school in a way that teachers and students can respect each other and students can participate autonomously in class and decision mak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연합대학의 개념과 성공 요인에 대한 연구
- 고등학생이 인식한 교사 및 또래 관계, 학생중심 교육환경, 사회문화적 환경과 교권침해 경험의 연관 연구
- 윤석열 정부의 교육 거버넌스 개편과 신민영화 정책
- 고교 제도 변화와 정치 엘리트 충원의 관계 분석: 제22대 국회의원 지역구 선거 후보자를 중심으로
- 교육부의 공주교육대학교 총장 임용제청 거부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자율학교 특성화교육과정 실행에서의 미시정치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이 교육감 선거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교육감과 시・도지사 선거비용 비교를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통한 유보통합 정책 방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