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과에서 공공기관에 관한 대안적 교육 방안 탐색 - 공공가치론에 기초하여 -
이용수 134
- 영문명
- Exploring Alternative Educational Methods for Public Institutions in Social Studies - Based on the Theory of Public Value -
- 발행기관
- 한국사회과수업학회
- 저자명
- 조의호
- 간행물 정보
- 『사회과수업연구』제12권 제1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과에서 공공기관에 관한 기존 교육 방안의 한계에 주목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교육 방안을 공공가치론에 기초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있었던 공공기관 관련 교육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으로 개편되면서 학습량 감축이라는 개정의 큰 흐름 속에 삭제되었다. 그러나 공공기관 관련 내용은 사회과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개념인 공공성을 구체적 현상이나 학생의 경험을 토대로 다룰 수 있는 소재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공공가치론은 공공성의 내용적 범주에 해당하는 것으로 공공성의 개념적 모호함을 극복하고 시민 참여를 바탕으로 기관이 추구해야 할 가치를 민주적 의사결정 과정에 따라 형성할 것을 중시한다. 이에 근거하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공공기관 관련 내용은 공공기관 개념 정의의 부정확성, 공공기관 개념 정의와 사례의 부정합성, 배경 학문의 핵심 개념과 실제 교육 내용의 부조화가 있었다. 이에 대한 대안적 교육 방향으로 공공기관을 대체할 공공가치에 초점을 둔표현 도입, 학생 수준에 적합한 공공가치 진단 기준 활용, 토의·토론을 활용한 특정 맥락에서의 공공가치실현방안탐색강화를제안하고실제수업적용을통해그실행가능성을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the limitations of existing education plans for public institutions in social studies and attempted to explore alternative education plans to overcome them based on the theory of public value. The contents of education related to public institutions in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were deleted in reorganiz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of the large trend of reducing the contents of education. However, the contents related to public institutions are valuable in that they are materials that can deal with publicness, a concept that should be treated important in social studies education, based on specific phenomena or student experiences. The theory of public value falls under the content category of publicness, and emphasizes overcoming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definition of publicness and forming values for institutions based on civic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democratic decision-making process. Based on this, the contents related to public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ad limitations in that inaccuracy of the concept definition of public institutions, the inconsistency of concepts and cases of public institutions, and the incongruity between the core concepts of background studies and actual educational content. Alternative educational directions included the introduction of expressions focusing on public values to replace public institutions, the use of public value diagnostic criteria appropriate to the student level, and the search for ways to realize public values in specific contexts using discussions and discussions.
목차
Ⅰ. 서론
Ⅱ. 공공가치론의 주요 논의
Ⅲ. 사회과에서 공공기관에 관한 기존 교육 방안과 그 한계
Ⅳ. 공공가치론에 기초한 공공기관 관련 대안적 교육 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8호
- 유아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반영한 리빙랩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유아발달 및 놀이성과 공동체 의식, 사회적 유능감, 친사회성을 중심으로
- Effects of pre-briefing on self-efficacy, simulation immersion, communication ability, simulation satisfaction, and teamwork in advanced life support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