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병원간호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희망,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능력, 의사소통능력을 중심으로
이용수 137
- 영문명
- Factors Affecting the Resilience of Hospital Nurses: Hope, Self-efficacy, Stress Cop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 발행기관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 저자명
- 김시은 한숙정
- 간행물 정보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제33권 제2호, 64~73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hope, self-efficacy, stress cop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on the resilience of hospital nurses. Methods: The sample of this study comprised 201 nurses working in the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Korea for the year of 2024.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the analyse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s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nurses' resilience were hope (β=.41, p<.001), communication (β=.33, p<.001) and stress coping ability (β=.15, p=.005). These factors had an explanatory power of 61.5% (F=32.92, p<.001) in resilience.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nurses' resilience, various trainings and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enhance nurses' hope, stress cop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영문 초록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