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무업무지원팀 운영이 교사의 교무업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충남 소재 중학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90
- 영문명
-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operation of the school affairs support team on the satisfaction of teachers' school affairs : In the middle school located in Chungnam province
- 발행기관
-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 저자명
- 배상열 문준식 정보현 김훈호
- 간행물 정보
- 『지방교육경영』제27권 제1호, 53~7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육부는 교원의 업무경감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교무업무지원팀은 교사가 교육활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교무업무를 담당하는 업무분장 조직이다. 교무업무지원팀 운영은 교사의 업무경감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업무 분담의 불명확성과 업무처리 매뉴얼 부재가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교무업무지원팀 관련 연구는 담임교사의 업무 경감에 관한 연구가 제한적이고, 주로 질적 연구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충남교육청 소속 중학교 교사 347명을 대상으로 교무업무지원팀 운영이 교사의 교무업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담임교사가 인식하는 교무업무 만족도를 설문조사로 알아보았다. 주요 결과는 교사의 전문직 인식 정도와 교무업무지원팀 운영은 교사의 교무업무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활동 집중이 필요한 담임교사는 교무업무 만족도를 부적으로 인식하며, 혁신학교에서 교무업무지원팀 운영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었다. 논의사항으로 교사가 교육활동에 집중할 수 있는 교무업무지원팀 운영과 담임교사의 교무업무 지원을 위한 교무업무지원팀 운영이 필요하다. 교직에 대한 전문직 인식은 교사에게 교무업무 만족감에 긍정적 영향으로 준다. 그러므로 전문직 인식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에 관한 연구와 혁신학교 교무업무 처리를 위한 기반 조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to reduce teachers' workloads, and the school affairs support team is a department responsible for dividing school duties so that teachers can focus on educational activities. The operation of the school affairs support team had a positive impact on reducing teachers' workloads, but uncertainties in the division of work and the absence of work handling manuals were pointed out as problems. Until now, the effectiveness of the operation of the school affairs support team has been studi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or research targeting the entire school. In this study, 347 middle school teachers belonging to the Chungnam Office of Education were surveyed, and significant statistical results of the operation of the school affairs support team were confirm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while the impact of the school affairs support team operation on homeroom teachers was also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is discussion,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school affairs support team so that teachers can focus on educational activities, and to support the school affairs of the homeroom teacher who needs to concentrate on educational activities. Since professional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s positively affects teachers' satisfaction with school affairs and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bility, research on various factors affecting professional perception is needed,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dealing with innovative school affai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