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학교의 정서행동 위기학생을 위한 긍정적행동지원 참여자의 인식과 경험, 지원 요구: 포커스그룹인터뷰
이용수 170
- 영문명
- Perceptions,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Participants in a Positive Behavior Supports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Crisis in General School: A Focus Group Interview
- 발행기관
- 한국행동분석학회
- 저자명
- 박상현 강영모
- 간행물 정보
- 『행동분석·지원연구』제11권 제1호, 79~111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정서행동 위기학생을 지원하기 위해 실행한 긍정적행동지원(Positive Behavior Supports, 이하 PBS) 참여자의 인식과 경험, 지원 요구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일반학교에서 PBS를 직접 실행한 일반교사 5명과 이를 지원한 구성원 4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s, FGI)를 실시하였다. 두 차례에 걸쳐서 진행된 인터뷰 내용을 분석한 결과, 총 3개의 영역에서 9개의 범주와 26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첫째, 일반학교 생활교육 현황과 PBS에 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기존 생활교육 정책에 비해 PBS만이 가지는 의미와 중요성이 나타났다. 둘째, 일반학교에서 PBS를 운영하면서 느낀 경험을 살펴본 결과, 학교급에 따른 차이와 현실적인 제약 조건이 있지만 일반학교로의 확대 가능성이 존재하였다. 셋째, 일반학교에 PBS를 정착시키기 위한 지원 요구를 살펴본 결과, 학생과 교사, 단위학교, 시․도교육청,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 요구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점은 일반학교에 PBS를 확대 적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써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s,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participants in Positive Behavior Supports (PBS) implemented to support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crises in general schools. Focus Group Interviews (FGIs) involved five homeroom teachers directly implementing PBS in general schools and four members who supported them. Analysis of the interviews, conducted in two rounds, yielded 9 categories and 26 meaning units across three domains. First, exploring the status of life guidance and perceptions of PBS in general schools unveiled the unique significance and importance of PBS over existing life guidance policies. Second, exploring the experience of implementing PBS in general schools revealed possibilities for expansion, despite differences and constraints varying by school level. Third, exploring the support needs for establishing PBS in general schools confirmed demands at the levels of students, teachers, schools, school districts, and the gover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serve as foundational data useful for expanding the PBS in general schoo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