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생 생활안전의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이용수 43
- 영문명
- Classifying Latent Profiles of Life Safety Awareness in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김은미 김은미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20권 제1호, 111~12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생활안전의식 잠재프로파일의 유형을 분석하고 각 잠재 집단의 개인차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834명을 대상으로 개발한 고등학생의 생활안전의식 척도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과 개인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3개의 잠재프로파일이 도출되었고, 그 형태에 따라 ‘안전불감형’, ‘안전유지형’, ‘안전추구형’이라 명명하였다. 4개의 생활안전의식 하위요인에서 모두 점수가 높은 ‘안전추구형’은 전체의 44.3%를 차지하였고, 낮은 점수를 보이는 ‘안전불감형’은 20.7%로 그 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잠재집단의 성별, 학년별 및 학업 성취별 개인차는 성별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고등학생의 생활안전의식 잠재프로파일의 유형과 특성을 알아봄으로써, 맞춤형 생활안전교육의 시사점,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점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s of latent profiles of high school students' life safety awareness and to examine interindividual differences in each latent group. Latent profiles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life safety awareness scale of high school students developed for a total of 834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were three latent profiles, and they were named ‘safety insensitivity type’, ‘safety maintenance type’, and ‘safety pursuit type’. The ‘safety pursuit type’ with high scores in all four sub-factors of life safety awareness accounted for 44.3% of the total, and the ‘safety insensitivity type’ with low scores was the lowest at 20.7%. On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interindividual differences by gender, grad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latent group. The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of customized life safety education by examining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latent profiles of high school students' life safety awarenes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