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인기 진입 발달장애인 부모의 전환기 효능감 개선을 위한 고찰: ‘Freeman 모델’의 개념과 함의를 중심으로

이용수  71

영문명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ransition Efficacy of Parents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Entering Adulthood: Focusing on the Concept and Application of the ‘Freeman Model’
발행기관
한국학습장애학회
저자명
민수진
간행물 정보
『학습장애연구』제21권 제1호, 103~12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인기 진입 발달장애인 부모의 전환기 효능감 개선을 목적으로, 국외 보건의료 분야 등에서 증거 기반의 실제(evidence based practice)로 입증된 ‘Freeman 모델’을 도입하고 개념 및 국내 함의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발달장애인 부모의 효능감 개념 환기 및 총 19편의 관련 선행연구의 동향을 분석․종합하고, 이들의 전환기 효능감 지원 욕구(needs)를 확인하였다. 이어서 이러한 욕구 충족을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Freeman 모델로 불리는 ‘케어의 연속성(continuity of care)’ 개념화 연구를 비교․분석하고, 이 접근이 성인기 진입 발달장애인 부모의 전환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지원 욕구에 부합함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케어의 연속성’ 개념을 기반으로 성인기 진입 발달장애인 부모의 전환기 효능감 개선을 위한 지원에 관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 사회 성인기 진입 발달장애인 부모의 전환기 효능감 개선을 위해 새로운 연속성 접근을 시도하고 현장 시사점을 제공한 초기 연구라는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roduced the ‘Freeman Model’ proven as evidence-based practice in overseas health care fields and examined the concept and domestic implications, with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transition efficacy of parents with a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ntering adulthood. For this, first, the concept of efficacy of parents of a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evoked and the trends in a total of 19 related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and synthesized, and their needs to support transition efficacy were confirmed. Next, as an alternative to satisfying these needs, studies on the conceptualization of 'continuity of care', called the Freeman model,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it was found that this approach fits the needs for support to enhance the transition efficacy of parents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entering adulthood. Lastly, based on the concept of 'continuity of care', implications regarding support for improving the transition efficacy of the parents were sugges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n early study that attempted a new continuity approach and provided field implications in our society, to improve the transition efficacy of parents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youth entering adulthood.

목차

Ⅰ. 서론
Ⅱ. 발달장애인 부모의 효능감
Ⅲ. Freeman 모델: ‘케어의 연속성(continuity of care)’
Ⅳ. 제언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민수진. (2024).성인기 진입 발달장애인 부모의 전환기 효능감 개선을 위한 고찰: ‘Freeman 모델’의 개념과 함의를 중심으로. 학습장애연구, 21 (1), 103-126

MLA

민수진. "성인기 진입 발달장애인 부모의 전환기 효능감 개선을 위한 고찰: ‘Freeman 모델’의 개념과 함의를 중심으로." 학습장애연구, 21.1(2024): 103-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