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정치료와 측두하악관절: 조절이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것
이용수 44
- 영문명
- Orthodontic Treatments and Temporomandibular Joints: Dos and Don’ts
- 발행기관
- 대한치과교정학회
- 저자명
- 최병택 박재현 최은아 손재도 이상미 문다날 이계형
- 간행물 정보
- 『대한치과교정학회 임상저널』14권 1호 , 70~79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For successful orthodontic treatmen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what is possible and what is impossible. Since orthodontic treatment is a type of occlusal treatment, the treatment goals of aesthetics, function, and stability must be achieved based on good occlusion. Good occlusion does not mean simply the interlocking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For good function, a healthy condition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must be premised. In this paper, we considered the following questions about the points to consider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to maintain a healthy temporomandibular joint. I. Is it possible to grow the mandible? II. Is it possible to put the displaced joint disc back in place? III. What can be done to create a healthy temporomandibular joint? And, we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1. The use of the mandibular anterior positioning device (functional appliance) may temporarily promote mandibular bone formation, but in the long run, significant growth of the mandibular bone cannot be obtained, and TMD symptoms may occur in the process of positioning the mandibular forward, so care should be taken. 2. Attempts to re-position the displaced disc are generally unsuccessful due to morphological change of the disk, and can only be tried in acute lock within a week. 3. In patients with displacement of the joint disc, using stabilizing splint to form a pseudo-disc is the right treatment direction to follow to maintain a healthy temporomandibular joint. (Clin J Korean Assoc Orthod 2024;14(1):70-79)
영문 초록
목차
서론
하악골을 성장시킬 수 있는가?
변위된 관절원판을 다시 제자리에 위치시킬 수 있는가?
건강한 측두하악관절을 만들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악 구치부 Intrusion과 MEAW를 이용한 골격성 개방교합 환자의 비수술적 교정치료: 치료 후 2년 유지 결과 포함
- 임상가를 위한 폴리머(Polymer)의 기본 개념
- 교정치료와 측두하악관절: 조절이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것
- Computer-Aided Surgical Planning을 이용한 안면비대칭 III급 환자의 조기 양악 수술
- 세라믹 자가결찰 브라켓 제거 시 파절률 및 접착제 잔존 양상의 비교
- 개방교합과 안면 비대칭을 보이는 골격성 II급 부정교합 환자의 비수술적 치료
- 깊은 수직피개와 큰 수평피개를 동반한 I급 부정교합 환자의 마이크로 임플랜트를 이용한 비발치 교정치료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 제13권 제2호 목차
- 치위생과 학생의 그릿과 문제해결능력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의 가구유형 및 동반식사 여부와 구강검진 수검률의 관련성: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22-2023)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