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야립광고의 디자인 특성에 따른 광고 효과 차이
이용수 15
- 영문명
- The Advertising Effects of Visual Characteristics in Highway Billboard Advertising: An Exploratory Study
- 발행기관
- 한국OOH광고학회
- 저자명
- 김운한 변혜민
- 간행물 정보
- 『OOH광고학연구』제20권 제1호, 113~13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야립광고의 크리에이티브 요인으로 ‘광고물 외형 디자인’과 ‘광고면 그래픽 디자인’이 매체태도 및 광고태도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성인 3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형(우측 이용)은 평면형에 비해 광고태도와 광고주목, 장소성, 지각된 창의성에 대해 더 높은 평가를 받았다. 둘째, 복합형(하단기둥 이용)은 매체태도와 매체주목, 광고태도, 광고주목, 사회문화적 영향 그리고 지각된 창의성에서 더 긍정적으로 인식되었다. 셋째, 세로형은 가로형에 비해 매체태도 및 매체주목, 경제성, 지각된 창의성이 더 높은 평가를 받았다. 넷째, 이미지중심형 이 텍스트중심형에 비해 경제성과 사회문화적 영향, 광고태도, 지각된 창의성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다섯째, 야립광고 유형별 매체태도가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광고태도에 대해서는 매체태도와 사회문화적 영향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광고주목에 대해서는 매체주목과 장소성이, 지각된 창의성에 대해서는 매체태도와 사회문화적 영향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금조성용 옥외광고물의 크리에이티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전략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advertisement exterior design' and 'advertisement graphic design' of highway billboard advertising on media attitude, attitude toward advertising(Aad), attention. The results of a survey of 300 adults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 normal flat type, the composite type was evaluated higher in all dependent variables such as media attitude, media attention, economic feasibility, sense of place-making, socio-cultural influence, advertising attitude, advertisement attention, and ad creative(perceived creativity). Second, the bottom used type was perceived more positively than the flat type. Third, the media attitude toward the vertical advertisement was perceived more positive than the horizontal ones and sense of place-making and the recognition of advertising creativity were higher. Fourth, image-centered advertisement design was found to be more highly aware of advertising media attitude, economic awareness, socio-cultural influence, Aad, and advertising creative than text-centered advertisement. Fifth, media attitude, media attention, and socio-cultural influenc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media attention and socio-cultural influ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ome strategy was proposed to enhance the creative effect of OOH advertising.
목차
Ⅰ. 연구 목적 및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사회복지 종사자의 고객지향성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 국내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 비폭력대화(NVC)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궐련형 전자담배와 연초에 대한 유해성 인식과 각종 담배 규제 방식에 대한 인식 비교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체중 편견 내재화와 낙인 대처 커뮤니케이션이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 행복의 재설계: 기능-지표 모형과 자기 수용의 건강 소통 함의
- 온라인 관계 지향성이 심리적 고통에 미치는 영향: 오프라인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