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간판 개선이 점포 및 지역 브랜딩과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보성, 오락성, 방해성을 중심으로

이용수  9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 of Signboard Improvement on Store and Local Branding and Acceptance Intention: Focusing on Informativeness, Entertainment, and Irritation
발행기관
한국OOH광고학회
저자명
김예솔란 이세진
간행물 정보
『OOH광고학연구』제20권 제1호, 91~11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는 아름다운 간판 거리를 조성하려는 목적으로 정부 주도의 간판 개선을 시행하고 있다. 간판 개선은 여러 참여자의 협력으로 진행되기에 그 성과를 평가하는 기준이 이해관계자의 관점에 따라 다르다. 특히 주요 참여자인 소상공인은 점포 브랜딩 효과, 지자체는 지역 브랜딩 효과를 기대한다. 사업 시행 주체인 정부 기관은 사업이 우리 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수용되길 바란다. 이에 이 연구는 개선된 간판에 대해 그 최종 수용자인 소비자가 인식하는 정보성, 오락성, 방해성이 점포 및 지역 브랜딩 효과와 사업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부산 소재 대학교의 학부생과 대학원생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점포 및 지역 브랜딩 효과와 간판 개선 사업 수용 의도에 대해 정보성과 오락성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방해성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간판 개선의 효과에 관한 학술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 간판 개선 사업의 참여자들이 공동의 기대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성공적인 사업 모형을 구축하는 것에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Korea, a government-led signboard improvement project is being implemented to make the street environment beautiful and pleasant. The main participants in this project, the store owners and local governments, expect to gain store branding and local branding effects from this project, respectively. The government agency, which is the main body of the project, hopes that the project will be successfully accepted by members of society.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the perceived informativeness, entertainment, and irritation of improved signboards on store and local branding and acceptance intention to projects.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with 300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formativeness and entertain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store and local branding effects and acceptance intention to projects, but irritation had a negative effect. These results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academic research on the effect of signboard improvement, and a guideline for establishing a successful business model that can promote mutual benefits of project participants such as store owners, local governments, and government agenc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문제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예솔란,이세진. (2023).간판 개선이 점포 및 지역 브랜딩과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보성, 오락성, 방해성을 중심으로. OOH광고학연구, 20 (1), 91-111

MLA

김예솔란,이세진. "간판 개선이 점포 및 지역 브랜딩과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보성, 오락성, 방해성을 중심으로." OOH광고학연구, 20.1(2023): 91-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